•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중국불교에서 반야에 대한 이해(1) - 2종반야와 3종반야의 전개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Prajñā in the Early Chinese Buddhism(1): with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of Two Kinds and Three Kinds of Prajñā)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8.12
25P 미리보기
초기 중국불교에서 반야에 대한 이해(1) - 2종반야와 3종반야의 전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6호 / 3 ~ 27페이지
    · 저자명 : 최은영

    초록

    초기경전의 지혜와 대승불교의 반야를 함께 접한 중국불교에서 수당대 초에 이르기까지 반야설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을 살펴보려고 한 것이 본고의 의도이다. 일찍이 승조의 「반야무지론」이 있지만, 반야경론이 한역된 시기에 비해 늦은 남북조시기를 지나서야 반야에 대한 중국 불교학자들의 해석을 찾아볼 수 있다. 초기 중국불교 반야관의 종합으로 보이는 3종반야는 여러 문헌에서 『대지도론』으로 전거를 들고 있다. 그러나 『대지도론』에는 지혜(智)와 지혜가 비추는 곳(智處)으로서의 반야설이 전개되는 기반은 있지만 직접적으로 3종반야가 발견되지는 않는다. 이점에 착안하여 인식작용인 지혜와 제법실상(智處)으로 반야설을 전개하는 여러 주석을 검토하여 이것이 중국불교 반야관의 전개에서 중요한 배경이 됨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가운데 지혜의 체를 유식설과 결합하여 분석하는 지도론사와 지론사의 반야관을 살펴보았다. 천태와 삼론의 주석문헌에서 智度論師는 實相般若에 역점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大智度論疏』의 반야설을 살펴보면 이들은 實相과 眞智 2종반야 설명에 주력하고 있다. 진지반야를 아리야식지와 전식법지로 나누어서 진증지혜는 이승이 얻을 수 있는 반야가 아니라고 구별하고 있다. 이것은 지론사 혜원의 여러 주석에도 유사하게 발견되는 내용이다. 또한 地論師 慧遠은 반야를 體와 法으로 분류하고 그 범주에서 3종반야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불교의 반야설은 기본적으로 지와 지처를 근본으로 하는 2종반야에서 3종반야설로 전개되었다고 본다. 이러한 반야관의 형성과 전개를 통해 남북조시기에 불교교리에 대한 이해가 여러 학파의 교류와 영향관계를 통해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theories of Prajñā in Chinese Buddhism’s encountering both the wisdom of Early Buddhist scriptures and the Prajñā of Mahayana Buddhism together until the early period of Sui and Dang dynasties. Earlier, there was Sengzhao (僧肇)’s “Prajñā Has no Knowing,” but Chinese Buddhist scholars’ proper interpretation of Prajñā can be found later at least after the end of the period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despite earlier Chinese translations of sutras and treatises about Prajñā. The theory about three kinds of Prajñā as the synthesis of Early Chinese Buddhist understanding of Prajñā is said to have the Dazhidulun (大智度論) as its source according to several texts. In the Dazhidulun, however, we can find only the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Prajñā about wisdom (智) and the place wisdom illuminates (智處), while we cannot find the three kinds of Prajñā directly there. Therefore, Chinese Buddhism might be characterized to mention the Dazhidulun as the source of the theory of Prajñā in several schools. In the commentarial texts of Tiantai and Sanlun schools, there are records showing that the masters of Dazhidulun focused their attention on the Prajñā as actual form (實相般若). When we investigate the theory of Prajñā directly in the Dazhidulunshu (大智度論疏), a commentarial work on the Dazhidulun, this work is focused upon explaining the two kinds of Prajñā as actual form and true wisdom. Rather, it clarifies concretely the content of illuminatory Prajñā according to conditions as the working of illumination in the Prajñā as true wisdom, explaining it as Mahaprajñā. this is considered to have been also influenced by the master Shi Daoan (釋道安), with the possibility of its authors’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s of the Dilun school. In several commentarial works of Huiyuan (慧遠), a master of the Dilun school, Prajñā is classified as essence (體) and dharma (法), in whose category three kinds of Prajñā are explained. So the theory of Prajñā in Chinese Buddhism is regarded basically to have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about two kinds of Prajñā. Finally, on the Prajñā as letter (文字般若), the source of the argument that ‘both the place of talk (說處) and the place of wisdom (智處) are Prajñā’ and the possibility of the theory about three kinds of Prajñā according to the Abhidharmic style of definition are suggested in relation with the investigation of the understanding of Prajñā that is developed in early Chinese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