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重菴 金平默 門人과 艮齋 田愚의 심설논쟁 양상 (Jungam Kim Pyeong-muk's Disciple and Ganjae Jeon-Wu's Debate about the Mind Theor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2.12
35P 미리보기
重菴 金平默 門人과 艮齋 田愚의 심설논쟁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45권 / 1호 / 211 ~ 245페이지
    · 저자명 : 신요한

    초록

    본고는 重菴 金平默(1819~1891)의 문인들과 艮齋 田愚(1841~1922) 사이에 일어났던 심설논쟁 양상을 새로운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김평묵의 문인인 遜志 洪在龜(1845~1898)・龍西 柳基一(1845~1904)과 전우는 각자의 심설을 주장하며 논쟁을 이어갔다. 그 과정 속에서 이들은 상대의 심설을 비판하는 글을 남겼다. 본 논문에서는 『龍西稿』에 실린 「讀遜志所著田愚檢本辨」와 「讀田愚雅言疑義」를 대상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홍재구와 유기일은 화서학파의 중요한 사건에 항상 등장하는 인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저술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유기일의 문집은 필사본 형태로 전해지고, 홍재구의 문집은 현재 전해지지 않기 때문으로 보여 진다. 최근 여러 기관에 소장되어 있던 유기일의 『용서고』에 대한 이본 연구가 이루어졌다. 국내외에 흩어져 있던 유기일의 문집인 『용서고』의 이본 현황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독손지소저전우검본변」, 「독전우아언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독손지소저전우검본변」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는 자료는 전우의 「검본」이다. 「검본」은 전우의 문집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았지만, 1895년 중국 상해에서 석판본으로 간행된 『구산잡저』에 포함되어 있는 자료이다. 「독전우아언의의」의 비교 대상 자료는 『간재선생문집』에 수록된 「화서아언의의」다.
    「독손지소저전우검본변」의 경우 홍재구가 「검본변」을 저술할 때 참고했던 자료의 일부가 낙장되어 「검본」 내용 전체를 변론하지 못하였다. 이후 유기일이 「독손지소저전우검본변」을 정리하면서 홍재구가 참고하지 못했던 부분을 ‘검본낙장팔조변’으로 보충하였다. ‘검본낙장팔조변’은 완벽하게 보완된 것은 아니지만 전우와 홍재구・유기일의 심설논쟁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독전우아언의의」는 전우의 「화서아언의의」와 비교하였을 때 체재 상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독전우아언의의」에 필사된 내용이 『간재선생문집』에 수록된 「화서아언의의」 보다 1조항이 더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독손지소저전우검본변」은 전우의 심설에 대하여 화서학파 특히, 중암 문인들이 비판했으며, 「독전우아언의의」는 이항로의 심설에 대하여 전우가 비판하고 다시 유기일이 재반박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두 학파 사이의 심성논쟁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자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mind theory debate that occurred between the disciple of Kim Pyeong-muk and Jeon Wu through a new writings. Kim Pyeong-muk's disciple, Hong Jae-guㆍYoo Ki-il and Jeon Wu continued their argument by arguing their mind theory. In the process, they left a comment criticizing the opponent's mind theory.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Doksonjisojeojeonwugeombonbyeon(讀遜志所著田愚檢本辨)」 and 「Dokjeonwuaeonuiui(讀田愚雅言疑義)」 listed in 『Yongseogo(龍西稿)』.
    Hong Jae-gu and Yoo Ki-il are the characters who always appear in important events of the Hwaseo School. Nevertheless, their writings are not well known. This is because Yoo Ki-il's collections of works are transmitted in the form of manuscripts, and Hong Jae-gu's collections of works are not handed down at present. Recently, a study on different version of 『Yongseogo(龍西稿)』 that were stored in multiple institutions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scattered status of 『Yongseogo(龍西稿)』, the existence of 「Doksonjisojeojeonwugumbonbyeon(讀遜志所著田愚檢本辨)」 and 「Dokjeonwuaeonuiui(讀田愚雅言疑義)」 could be confirmed.
    In 「Doksonjisojeojeonwugeombonbyeon(讀遜志所著田愚檢本辨)」, the subject of debate is Jeon Wu’s 『Gumbon(檢本)』. 『Gumbon(檢本)』 is not included in Jeon Wu's collections of works. However, it is included in 『Gusanjabjeo(臼山雜著)』, published in China in 1895. The object of comparison of 「Dokjeonwuaeonuiui(讀田愚雅言疑義)」 is 「Hwaseoaeonuiui(華西雅言疑義)」 listed in 『Ganjaeseonsaengmunjib(艮齋先生文集)』.
    In the case of 「Dokjeonwuaeonuiui(讀田愚雅言疑義)」, part of the book that Hong Jae-gu referenced when writing 「Gumbonbyeon(檢本辨)」 was omitted, so the entire contents of 「Gumbon(檢本)」 could not be argued. After that, Yoo Ki-il organized 「Doksonjisojeojeonwugeombonbyeon(讀遜志所著田愚檢本辨)」 and added ‘Gumbonnakjangpaljobyeon(檢本落張八條辨)’ to the part that Hong Jae-gu could not refer to. ‘Gumbonnakjangpaljobyeon(檢本落張八條辨)’ is not a perfect complement, but it is an article that can confirm the mind theory debate between Jeon Wu, Hong Jae-gu and Yoo Ki-il. 「Dokjeonwuaeonuiui(讀田愚雅言疑義)」 does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mat compared to 「Hwaseoaeonuiui(華西雅言疑義)」 of Jeon Wu. Rather,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of 「Dokjeonwuaeonuiui(讀田愚雅言疑義)」 contains one more clause than 「Hwaseoaeonuiui(華西雅言疑義)」 included in 『Ganjaeseonsaengmunjib(艮齋先生文集)』.
    In 「Doksonjisojeojeonwugeombonbyeon(讀遜志所著田愚檢本辨)」, the Hwaseo school, especially the disciple of Jungam, criticized Jeon Wu's mind theory. 「Dokjeonwuaeonuiui(讀田愚雅言疑義)」 is composed of a form in which a comrade criticizes Lee Hang-ro's mind theory and then Yoo Ki-il rebuts it again. Through the articles reviewed above, you will be able to broadly understand the mind theory between the two schoo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