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암(巍巖)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구조적 해명 (A structural Explanation for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Oeam(巍巖)’s coincide of Mind-and-Heart and natural(心性一致))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7.02
23P 미리보기
외암(巍巖)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구조적 해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38권 / 45 ~ 67페이지
    · 저자명 : 하나

    초록

    본 논문은 기의 구분으로부터 시작하여 미발과 심을 구분하는 과정을 거쳐 도출된 외암 이간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구조적 해명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외암과 남당의 논변은 미발시에 청탁수박한 기질을 말할 수 있는가 없는가의 문제로부 터 촉발되었다. 논쟁 초반, 외암은 미발시에는 기가 용사하지 않기 때문에 청탁수박한 기 질을 말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남당은 미발시에 기가 용사하지 않는다는 것에 동의하면서도, 사람의 마음 자체는 청탁수박한 기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미발 시에도 선악의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반박한다. 이에 외암은 ‘기불용사(氣不用事)’ 라는 개념보다 더욱 적극적인 본연과 혼요의 기 개념을 사용하여 기를 구분해 보아야 함 을 주장한다. 그리고 본연의 기가 전제되었을 때 미발의 대본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하 였다. 외암의 이러한 주장은 곧 본연과 혼요, 두 가지의 기를 기반으로 마음의 영역인 미 발을 두 층차로 나누는 데까지 나아간다. 그리하여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본연지기로 이 루어진 상태인 대본저미발과 혼요지기로 이루어진 상태인 부중저미발이라는 개념이다. 외암의 논의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심을 본연과 기질로 나누어 설명하는 데까지 나아간 다. 그는 대학장구의 명덕을 본연의 마음에, 기품에 구애받은 것을 기질의 마음에 배치 시킨다. 여기서 명덕은 곧 본심이니 본연지심은 본연지기로 이루어진 마음이라고 할 수 있고, 기품은 곧 혈기이니 기질지심은 혈기에 구애받아 생긴 혼요지기로 이루어진 마음 이라고 할 수 있다. 남당은 외암의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심을 둘로 나누고 더불어 성 또 한 둘로 나누어보았다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해 외암은 자신은 실사의 측면에서 논한 것 이라고 주장하면서 반박한다. 실사라는 것은 우리가 실질적인 삶을 영위하고 있는 현실 세계라고 할 수 있으며 현실세계에서는 리가 기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드러날 수밖에 없 기 때문에 선의 실재 여부는 성이 아닌 심, 즉 마음에 달려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심이 리를 그대로 드러날 수 있는 상태여야만 도덕법칙의 존재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데 외암은 이 를 기의 구분, 그리고 미발과 심의 구분을 통해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외암의 이러한 논리는 현실세계에서 본연지기로 이루어진 본연지심을 통하여 심과 성이 일치하고 리와 기 가 실질을 같이 하는 경지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ve an object in studying the Oeam’s mind-and-heart theory centered on the division of material force(氣), the division of the not-yet aroused state(未發) and the division of mind(心). The debate between Oeam and Namdang(南塘) was triggered by the matter of whether there is physical natural(氣質之性) on the not-yet aroused state or not. In the beginning of the dabate, Oeam insisted that material force on the not-yet aroused state does not operate at all, so we don’t need to care about temperament(氣質). Although Namdang agreed that material force on the not-yet aroused state does not operate at all, he argued that human mind is composed of temperament, so mind even on the not-yet aroused state has both aspects of goodness(善) and wickedness(惡). Therefore, Oeam insisted that material force on the not-yet aroused state has to be divided into natural statement(本然) and confused statement(昏擾), and he also suggested that we can discover the great foundation(大本) on the assumption of natural force(本然之 氣). On the basis of this division of force, Oeam divided the not-yet aroused state: the great foundation(大本底未發) which consists of natural force and non-moderation(不中底 未發) which consists of confused force(昏擾之氣). Taking a step forward, Oeam also divided mind into natural mind(本然之心) and temperamental mind(氣質之心). He quoted a passage of The Great Learning(大學章句) and explained that bright virtue(明德) is natural mind and mind bound by temperament (氣稟) is temperamental mind. In this explanation, bright virtue is original mind(本心), so natural mind is also composed of natural force; temperament is physical mind(血氣), so mind bound by temperament is composed of confused force. Namdang criticized Oeam’s suggestion of division of mind(心) and natural(性). Against Namdang’s criticize, Oeam maintained that his theory is from the aspect of real fact(實事), and real fact is a real world which every human being leads their life upon. In this real world[not a metaphysical world], principle(理) can come to the real world only through a medium, material force. Thus, the exist of goodness depends on mind, not on natural tendency. In this situation, human’s morality can be realized only on the condition of pure mind, so that’s why Oeam divided force into two, the not-yet aroused state into two and even mind into two aspect. This Oeam’s theory facilitate coincide of mind-and-heart and natural(心性一致) in real world through natural mind which consists of natural for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