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우치전> ‘주선랑’ 화소와 가상에 대한 사유 -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 (Comtemplation on the Juseonlang Motif of and Virtual Images - In Comparison with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9.12
32P 미리보기
&lt;전우치전&gt; ‘주선랑’ 화소와 가상에 대한 사유 - 드라마 &lt;알함브라 궁전의 추억&gt;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29권 / 43 ~ 74페이지
    · 저자명 : 강혜진

    초록

    기술 발전으로 가상이 극도로 생생해진다면 현실에서는 구현될 수 없었던 이상마저 구현이 가능해질지 모른다. 그런 점에서 이는 얼핏 장밋빛 미래에 대한 이야기처럼 들린다. <전우치전>에서 소년들은 주선랑의 아름다움을 자신들이 즐길 수 있을 거라 기대했기에 그림에 탄복한다. <알함브라>에서 진우도 이 생생한 게임을 자신의 사업 아이템으로 쓸 수 있기에 게임에 감탄한다. 즉, 가상의 발전에 대한 기대와 감탄은 어디까지나 가상이 현실에 의해 통제될 것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전우치전>과 <알함브라>의 서사 전개가 보여주듯 우월한 가상은 현실과 현실에 긴박된 인간 자신마저 대체할 힘을 갖는다.
    <알함브라>와 <전우치전>은 이 문제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해결한다. <알함브라>에서는 사랑에 내재된 믿음의 힘이 기존의 앎이 통하지 않는 불확정적인 세계마저도 돌파하게 한다고 설파한다. 그러므로 <알함브라>에서는 문제를 제기할 장(場)은 만들었어도, 그것을 중점적으로 문제삼지는 않았다. 가상과 현실의 우열문제는 다른 문제들에 가려진 채 주변으로 밀려난다.
    반면에 <전우치전>에서는 정반대로 가상과 현실의 우열관계가 초래하는 갈등을 전면화시킨다. 심지어 <전우치전>에서는 전우치가 민씨를 이무기로 만드는 환상적 사건을 조성함으로써 문제를 심화시킨다. 가상과 현실의 단순한 이분법이 무너지자 현실이 갖는 우월성은 기댈 곳이 없어져 버린다. 전우치는 민씨에게 질투하지 말 것을 폭력적으로 주문한다. 그러나 가상에 대한 통제력이 없는 열등한 현실의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것은 질투밖에 없다.
    소설과 콘텐츠를 비교하는 연구는 두 가지 차원에서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하나는 소재의 차원이고 둘은 사유의 차원이다. 그중 소재의 차원은 보다 실제적이고 실용적이다. 많은 논의가 소재의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소재의 차원 못지않게 사유의 차원도 중요하다. 특히 고전소설은 전근대의 사유를 집적한 결과이기도 하다. 그 사유의 풍요로움이 본 논의에서 펼쳐낸 바대로 미래상, 미래의 과학기술에 대한 사고실험으로도 기능할 수 있게 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고전소설, 보다 넓게는 고전 서사가 제공하는 사유의 실마리를 앞으로도 더욱 적극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것이 콘텐츠나 스토리텔링을 연구하는 데에도, 나아가 창작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리라 본다.

    영어초록

    To make the ‘idealization’, which used to be impossible in the real world, possible by vivid virtual images would seem a promising future. However, the anticipation and admiration for the progress of virtual images are only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virtual world can be controlled by the real one. From this view point, the <Jeonwoochijeon> and the <Alhambra> are worth noticing. These texts show that the superior visual world has a power to substitute the real world and human beings who are tied up with the real world.
    The <Alhambra> points out that the power of belief which is implicit in love makes it possible to break through the indeterminate world where the existing knowledge does not work. Thus, the <Alhambra> only suggests a venue for raising issues while it does not take it seriously. On the other hand, the <Jeonwoochijeon> largely depicts some conflicts caused by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and real worlds. Moreover, it even eliminates the superiority of the real world by breaking up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worlds. In the inferior reality without any power to control the visual world, men are only allowed to feel jealousy.
    A research to compare novels and contents seems to be possible in two dimensions. One is the dimension of subject, and the other is the dimension of reasoning. Among them, the dimension of subject is more pragmatic. This must be the reason why there are many discussions in the dimension of subject.
    However, the subject of reasoning is as critical as the other. Particularly, classic novels are the results of aggregating premodern thoughts. The abundance of those thoughts is believed to make it possible to function as a thought experiment for future scientific technologies as discussed in the thesi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ore actively study the clues of reasoning offered by classic novels. Finally, it will be helpful not only for studying modern texts or contents, but also for the creation of new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