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번역되지 않은 영향, 브란데스의 재구성 - 1910년대와 변방의 세계문학 (Untranslated Influential, Memory of Georg Brandes in Korea - The Formation of World Literature in the 1910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7.04
45P 미리보기
번역되지 않은 영향, 브란데스의 재구성 - 1910년대와 변방의 세계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51호 / 7 ~ 51페이지
    · 저자명 : 권보드래

    초록

    이 글에서는 19세기 후반의 덴마크 비평가 기오 브란데스의 영향을 통해 1910년대, 나아가 식민지시기의 한국 문학에 새롭게 접근하는 단초를 만들어 보고자 한다. 스칸디나비아의 ‘근대적 단절’을 주도한 브란데스는 한국에 별로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1930년대 김남천‧박영희‧백철 등 많은 비평가에게 영향을 끼쳤음에도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않았고, 20세기 초 동아시아까지 미친 입센 열풍의 본래 주역인데도 그의 글은 한 번도 번역된 바 없다. 브란데스는 19세기 후반 『19세기 문학주조』를 통해 왕조 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유럽 문학’을 제안했고 한편 스칸디나비아 출신 사상 ‧ 문학가를 소개하고 『러시아 인상기』, 『폴란드 인상기』 등을 집필함으로써 유럽 변방의 문화 민족주의를 북돋우는 한편으로 그들 변방을 포함한 유럽적 공통성을 구축하고자 했다. 1910년대 말~1920년대 초를 통해 조선에서도 형성된, 유럽 변방을 축으로 한 세계 문학의 형성은 그의 존재에 힘입은 바 크다. 비록 1916년 『학지광』에 실린 짧은 소개문 외 브란데스의 흔적은 찾기 어렵지만, 이 글에서는 일본 ‧ 중국 등 이웃한 사례를 참조하고 특히 『近代思想十六講』 등을 조사함으로써 ‘그림자의 그림자’로서 식민지 조선에 있어 사상과 문학의 장에 미친 브란데스의 영향을 재구성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직접 번역 ‧ 영향 관계를 벗어나 세계문학 범위에서 한국의 사례에 접근해 보려는 것이 이 글의 조심스런 방법론적 시도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traces of Danish critic Georg Brandes in the 1910s Korea. Brandes was a devoted intellectual to circulate national cultures and to encourage a progress of freedom and culture in European world. He introduced Scandinavian philosophers and writers such as S. Kierkegaard, H. Ibsen, A. Strindberg to other parts of Europe, and reinvented F. Nietzche to be accepted to the reading public, and made Russian and Polish literature be respected and understood. At the same time, he challenged to the old idealism and conservatism of Scandinavian countries, and led ‘Modern breakthrough’ in Northern Europe. His representative works, Main Currents of Nineteenth Century, Impressions of Russia, Poland: A Study of the Land, People, and Literature, were translated into Japanese in the 1910s, and deeply influenced on young Japanese intellectuals who later worked as cultural mediators of the West to Korea. Nakajawa Rinsen in Japan and Lu Xun in China exemplified Brandes’ arrival to East Asia, and Korean intellectuals participated in such a field of cultural exchange as readers or coproduc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