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일본의 동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산림군락의 종조성과 분포에 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Community in Korea and Japan around the East Se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1.06
31P 미리보기
한국과 일본의 동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산림군락의 종조성과 분포에 관한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25권 / 3호 / 327 ~ 357페이지
    · 저자명 : 윤종학, 福嶋司, 김문홍, 吉川正人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산림군락의 분포와 종조성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식생조사 자료 1844를 이용하여 79개 산림군락을 식별하였으며, 54개 종군으로 구분되어 조사지역 간의 종조성의 유사성과 이질성을 나타냈다. 또한, 산림군락의 상관을 나타내는 구성종의 특징에 따라 14개 산림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사지역의 수직적 식생대는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지만 지역 간 서로 다른 우점종과 종조성 차이를 나타냈다. 저지대에 구실잣밤나무 또는 모밀잣밤나무를 우점종으로 하는 모밀잣밤나무속-산림형(Castanopsis-Type)은 한반도 북부와 울릉도를 제외한 조사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후박나무-산림형(Persea thunbergii-Type)은 조사지역의 전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구릉대에 분포하는 일본젓나무-산림형(Abies firma-Type)의 상록수림은 큐슈북부와 쓰시마섬에 분포하고 있다. 산지대에 참나무속(활)-산림형(Quercus(D)-Type)과 너도밤나무속-산림형(Fagus-Type)으로 구성된 낙엽활엽수림은 조사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지만, 신갈나무와 너도밤나무가 우점하는 산림군락은 한국에 분포하며, 물참나무, Fagus crenata(일명: 부나), Fagus japonica(일명: 이누부나)가 우점하는 산림군락은 일본에 분포하고 있다. 아고산대에서는 전나무속-참나무속(활)-산림형(Abies-Quercus(D)-Type), 구상나무-산림형(Abies koreana-Type), 눈잣나무-산림형(Pinus pumila-Type)이 한반도와 제주도에 분포하고, 주목-산림형(Taxus cuspidata var. nana-Type), Abies mariesii-Type(일명: 아오모리토도마츠-산림형), 눈잣나무-산림형(Pinus pumila-Type)은 일본 중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DCA 분석결과, 제1축에 대하여 낮은 수치에서부터 상록활엽수림, 낙엽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이 배치되었다. 또한, 지역적으로는 제1축의 낮은 수치에서 부터 일본 산림형, 제주도 산림형, 한반도 산림형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었다. 기후요인 중 온량지수와 연교차는 제1축에 대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해양성 기후에서 대륙성 기후를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온난한 저해발, 저위도 지역에 분포하는 산림형일수록 산림군락간의 종조성적 유사성이 크며, 이에 반하여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으며, 고위도, 고해발지역에 분포하는 산림형일수록 산림군락간의 종조성의 차이가 뚜렷하고 산림군락의 종조성적 독립성이 강하였다. 이러한 형성요인은 오랫동안의 각 지역의 지사적(地史的)인 식물상의 구성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the forest communities between Korea and Japan using vegetation relevé database. The study included the eastern and southern Korean Peninsula, Is. Jeju, Is. Ulreung, northern Kyushu, central part of Japan and Is. Tsushima and divided in fourteen region with major mountain as the center. Seventy-nine fores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by tabular comparison with the total of 1844 relevés. In the composition table, fifty-four groups of plant species were listed. Some grew in one area exclusively, while others were present in multiple locations. This study showed the similarity and heterogeneity of species composition among study areas. We grouped fourteen types showing similar physiognomy for forest communities. The physiognomical features of the vertical vegetation zones in the study area were similar, however, dominant species and species composition were different between the regions. In the lowland zone, Castanopsis-Type dominated b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or Castanopsis cuspidata were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except for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s. Ulreung. Additionally, Persea thunbergii-Type was distributed widely in the lowest part of the study area, however, it showed the simplification of the species composi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s. Ulreung. In the hilly zone, evergreen forest composed by Abies firma-Type distributed in northern Kyushuand Is. Tsushima, but it was absent in the other study region. The difference in forest community was conspicuous, especially in the montane zon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composed Quercus(D)-Type and Fagus-Type widely distributed in the montane of study area. However, forest community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nd Fagus multinervis flourished in Korea. On the otherhand, forest community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var. grosseserrata, Fagus crenata and F. japonica distributed in Japan. In the sub-alpine zon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composed Abies-Quercus(D)-Type, Abies koreana-Type, and Pinus pumila-Type were distribut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s. Jeju. Forests composed Taxus cuspidata var. nana-Type, Abies mariesii-Type, and Pinus pumila-Type distributed in the central part of Japan. As a result of DCA ordinatio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the whole study area showed the lower scores along the first axis, while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showed the higher scores. The forest types of western part of Japan were located the higer scores, forest types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located the lower scores, and forest types of Is. Jeju located in the middle. Warmth index (WI) and Annual range of temperature in climate factor were highly correlated on the first axis. The first axis reflected the gradient from oceanic climatic to continental one. The higher the altitude and further geographically, the lower the similarity among communities and the peculiarity of community appeared stronger. The historical background reflecting local flora has strongly influenced on development of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환경생태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