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확대 관련 상법 및 자본시장법 개정안 검토 및 대안의 제시 (A Review of Bills of Commercial Code and Capital Market Act in the National Assemble regarding the issue of Duty of Loyalty of Corporate Director)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5.04
39P 미리보기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확대 관련 상법 및 자본시장법 개정안 검토 및 대안의 제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법연구 / 24권 / 1호 / 3 ~ 41페이지
    · 저자명 : 최승재

    초록

    현재 상법개정을 통해서 주주를 보호하여야 하는 논의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상법 개정을 하면서 충실의무와 공평의무 같은 조문을 두는 것은 총주주가 회사의 이익과 같아 불필요하고 오해만 발생시킬 것이기 때문에 유해하다고 본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다층적이고 모호한 배임죄를 가지고 있는 국가의 경우에는 이로 인한 문제는 심각하다. 이는 법리적으로도 우리 법이 취하고 있는 대륙법계의 태도에 부합하지 않다.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입법수요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만일 상법을 개정에서 총주주의 이익이라는 고려하라는 점을 상법 회사편에 반영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선관주의의무의 한 내용으로 정리하면서 이를 통해서 우리법상 이사의 의무를 미국회사법과 같은 취지로 정리하는 입법을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고 본다. 이사의 의무로 주주보호의무를 부과하기 위해서 상법의 체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에 부합하도록 법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독일은 독일법의 위임에 대한 규정체계를 고려하면 위임관계에서 수임인은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로 직무를 수행한다는 것에서 회사와의 이해상충을 방지하여야 하는 의무도 같이 부담한다. 미국법은 주의의무와 충실의무를 구별하면서 이를 묶어서 상위개념으로 신인의무를 둔다. 이렇게 되면 양자는 구별되는 개념이 된다. 이를 입법한 일본에서 선관주의의무와 충실의무가 같은가 다른가 하는 논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사실 독일, 일본, 한국은 굳이 별도로 충실의무라는 논의를 입법할 필요가 없는 국가라고 할 수 있는데 입법이 되고 나니 그 존재의미를 부여하여야 하였기에 발생한 논의라고 본다.
    본고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미국식 이사의 의무체계로 더 이동하도록 하여 상법 제382조를 개정하여 미국식으로 선관주의의무와 충실의무를 별도의 표제로 분리하고 우리는 이질설을 취하는 것으로 입법적으로 정리하는 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Currently, discussions are underway to protect shareholders through revision of the Commercial Act. However, while revising the Commercial Act, it is considered harmful to include unnecessary provisions which will only lead to misunderstandings. This problem is especially serious in countries like Korea, which have multi-layered and ambiguous criminal penalties to the directors that are unique in the world. Bills prese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does not correspond to the attitude of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adopted by our law. It is desirable to respond to legislative demands that have become socially problematic through revision of the specific provisions of the corresponding Capital Markets Act. In order to impose shareholder protection obligations as a director's duty, the commercial law system must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the law must be revised to comply with this.
    Nevertheless, National Assembly decided to revise the Korean corporation law, legislation would be enacted to reflect the duties of directors as part of the duty of care not as a part of duty of loyalty. In our legal system, considering the regulatory system for delegation in the German Civil Code, in a delegation relationship, the person in charge is also responsible for performing his/her duties with the duty of care and is also responsible for avoiding the conflicts of interest with the company(as far as the duty of care is concerned). US corporation law distinguishes between the duty of care and the duty of loyalty, but groups them together and places fiduciary duty as a superordinate concept. In Japan, which has legislated US style duty of loyalty, there is a debate as to whether the duty of fiduciary duty and the duty of loyalty are the same or different. In fact, Germany, Japan, and Korea can be said to be countries wher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legislate the discussion of the duty of loyalty, but I believe that the discussion arose because it had to be given meaning to its existence once it was legislated.
    In this paper, in order to move further to the American-style director's duty system in this situation, we revised Article 382 of the Commercial Act to separate the duty of fiduciary duty as Article 382-2 of the Commercial Act and duty of loyalty into separate headings in the American style in order to make it clear to separate duty of care and duty of loyalty in our commercial law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