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 이야기’ 안에서 유아들의 이론 공동 구성을 지원하는 교사의 전략 (A Teacher's strategies for Supporting Children's Co-construction of Theories in ‘Science Talk’)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1.08
32P 미리보기
‘과학 이야기’ 안에서 유아들의 이론 공동 구성을 지원하는 교사의 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열린유아교육연구 / 16권 / 4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오문자

    초록

    유아들의 과학적 소양 증진을 위해서는 과학적 사고의 본질인 이론 수립과 공동체의 의사소통을 통한 지식 구성과정을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유아들이 주체가 되어 주변 현상에 대한 이론을 수립해 나가는 대화를 ‘과학 이야기’라고 정의하고, 그 안에서 교사는 어떤 방식으로 유아들의 이론 공동구성을 지원해 나가며 동시에 유아들이 과학적 담화 방식을 배우도록 지원하는 지를 미시적 담화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 이야기’로서 유아들의 소집단 프로젝트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사는 첫째, ‘확대경’을 통해 유아 이론의 논리적 일관성을 부각시키고, 둘째, ‘반향판’ 제공으로 유아들의 이론 재검토를 격려하였으며, 셋째 시․공간과 양식이 서로 다른 텍스트 간의 연결을 활성화시켰고,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의미가 담긴 관객을 설정해 주었다. 결론으로,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교사들은 유아들 간의 담화가 이론 생성기능이 있음을 인식하고, 담화를 ‘굵직한 아이디어’(big idea)에 초점을 두고 교육과정 내용과 연결시키며, 유아들 이론 수립의 교육적 가치를 재고하고, 다양한 소통 양식을 상호교류적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영어초록

    Developing science literacy for young children can be facilitated by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ce that requires children to co-construct theories through communica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eachers can support children to make sense of the world around them and to appropriate the science discourse in the context of ‘science talk’. Through the microanalysis of transcripts of a small group projec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supported the children's co-construction of theorie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guidelines: First, she worked along the logic of children's theories by putting ‘a magnifying glass’ on them. Second, she encouraged children's reflection on their own theories by serving as a ‘sounding board.’ Third, she activated the linkage among different types of discourse across time and place. and Finally, she invited the audiences who were meaningful to the group of children. In conclusion, the teachers were encouraged, from the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a) to view talk as a context for theory/knowledge building, (b) to focus on ‘big ideas’ of science curriculum during the science talk, (c) to appreciate the educational value of children's naive theories, and finally (d) to utilize interactively a variety of modes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support children's leaning of the scientific ways of thinking and tal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