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합운송법 개정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n the Amendment bill of Multimodal Transport in Korean Commercial Law)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복합운송법 개정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19권 / 3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권기훈, 강재영

    초록

    오늘날 물류분야에서의 운송개념은 단순히 각기 구분된 육상운송, 해상운송, 항공운송을 의미하지 않는다. 육상·해상·항공운송을 통해 유기적인 흐름이 이루어지고 이것을 통해 생산과 소비가 최단 시간 내에 연결되는 복합운송이 현대가 요구하는 운송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복합운송이 실무적으로는 국제조약이 아닌 보통거래약관에 의해 규율되고 있는 실정이고, 보통거래약관에 의할 경우 운송인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약관이 제정, 적용됨으로써 거래 당사자 간의 균형잡힌 법률관계 형성에 저해될 우려가 다분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2011년 3월에 제출된 복합운송 개정안을 중심으로 복합운송계약, 복합운송증권, 책임제도, 책임구간, 책임의 한도, 손해의 통지, 제척기간, 강행규정 등을 검토하고, 이러한 규정이 복합운송제도를 규율하기에 충분한지에 대하여 각각 살펴보았다.
    복합운송은 적용법규를 달리하는 육상운송, 해상운송, 항공운송의 서로 다른 운송수단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손해발생 운송구간이 확인된 경우에는 확인구간의 운송법을 적용하게 되고, 손해발생 운송구간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복합운송법이 적용된다. 하지만 육상운송법에는 책임제한에 대한 규정이 없고, 책임제한, 책임기간, 손해통지기간, 히말라야 조항의 적용여부 등 운송인의 책임에 관해서도 육상운송법, 해상운송법, 항공운송법의 내용이 서로 다르다. 또한 새롭게 제출된 복합운송법안의 내용도 이와 달라 일반인의 혼란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규정의 일관성도 떨어진다. 운송수단에 따른 위험의 정도와 보호되는 법익이 다르다는 점에서는 이해되지만, 복합운송의 경우에는 다양한 운송수단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상 전체를 규율할 수 있는 규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복합운송에서 가장 큰 핵심은 손해발생구간이 확인된 경우 운송물의 손해배상책임에 관하여 누가 입증책임을 부담할 것인지와 손해발생구간이 불분명한 경우 책임운송구간을 어떻게 확정할 것인 지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상술할 기회를 갖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today’s logistics industry, the concept of transport does not refer only to the separate fields of land, sea and air transport. Today’s world requires combined transport (combined transport) that connects producers and consumers as quickly as possible in an organic flow of different modes of transport.
    However, there has been a criticism that, since multimodal transport is being regulated not under an international agreement but standard form contracts that favor carriers, such practice undermines fair and balanced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of the contract.
    Against such backdrop, on August 3, 2007,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added an article on multimodal transport in the Commercial Law. However, an article is not enough to effectively regulate the complex legal matters involving multimodal transport. Hence, the Ministry of Justice established a committee to revise the multimodal transport law within the Commercial Law on April 8, 2010 and, after nine meetings, came up with a draft on August 26, 2010. After a public hearing and a final meeting, the ministry submitted the revision bill to the National Assembly on March 3, 2011.
    This thesis, with a focus on the 2011 revision bill, reviews the concepts of multimodal transport contract, multimodal transport B/L, liability system, section of liability, limit of liability, notice of damage, elimination period and mandatory rules, and examines whether these rules are enough to regulate the system of multimodal transport.
    Multimodal transport is a combination of different modes of transport – land, sea and air – which are regulated under different set of rules. When the point of damage can be pinpointed and verified, the law applicable to that particular type of transport at the time of damage is to be applied. If the point of damage cannot be verified, the multimodal transport law should be applied. However, the land transport law does not have an article on limit of liability. Also, carriers’ liabilities regarding limit of liability, period of liability, notice of damage, applicability of the Himalaya Clause are all different under the land, sea and air transport laws. The revision bill is different from all the above as well, causing confusion among the general public and threatening the consistency of the transport law. This is understandable since the risks and legal interests protected vary with the mode of transport. However, the multimodal transport law must be able to cover all modes of transport since it will be applied to the cases of multimodal transport.
    The biggest points at issue are to decide who bears the burden of proof when the point of damage is verified and how to decide on section of liability when the point of damage is unclear. I look forward to elaborating on these issues in more detail on some future occa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