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위토지통행권에 관한 민법 개정안 검토 (Review of the Revision of Korean Civil Code on the Right of Passing over Surrounding Lan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4.12
36P 미리보기
주위토지통행권에 관한 민법 개정안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법학 / 40권 / 2호 / 147 ~ 182페이지
    · 저자명 : 최민수

    초록

    주위토지통행권은 민법의 상린관계규정에 의하여 인정되는 토지소유권으로 인접토지소유자 사이에 통행로로서의 토지사용에 관한 계약이 없어도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법정통행권이다. 주위토지통행권은 당사자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포위된 토지의 그 자체로부터 법률상 당연히 발생하는 법정통행권이며, 주위토지소유자의 승낙을 얻을 필요가 없다. 이는 결국 주위토지소유자에게 일종의 인용의무를 지우면서 포위된 토지소유자에 대하여 그 권능을 확대하는 것이다.
    주위토지통행권은 도시로의 인구집중, 토지가격의 폭등, 도시계획의 지연 등으로 최근 더욱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이며 한정적인 토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는 상린관계자 간의 이익충돌의 문제로 생긴다. 민법상 상린관계의 규정은 약 30개의 조문에 이른다. 특히 2011년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 제2분과위원회는 이들 규정 가운데 우리 사회에서 많이 문제 되고 있는 매연 등에 대한 인용의무(제217조), 주위토지통행권(제219조, 제220조) 및 경계침범 건축(신설 조문으로서 제242조의 2)에 대하여 검토하여 개정안을 제시한 바 있다. 물론 주위토지통행권에 관한 민법 개정논의는 이미 오래전인 2004년, 2011년, 2013년부터 있어왔다. 1999년 구성되어 2004년 활동을 끝낸 법무부 민법개정특별분과위원회와 2009년 구성되어 2014년 활동을 마친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는 주위토지통행권에 관한 개정안을 제안한 바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민법 물권편에 규정된 주위토지통행권의 내용을 간략히 기술하고, 2011년과 2013년에 논의되었던 주위토지통행권 관련 개정안을 비교·분석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고 사견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right to pass the surrounding land is a land ownership recognized by the neighboring relations of the Civil Act. It is a legal right of passage arising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law even if there is no contract for the use of land as a passage between adjacent landowners.
    The right of passage for the surrounding land is statutory right of passing that naturally arises from the surrounded land itself,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party.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obtain the consent of the surrounding landowners. This, in turn, extends the power of the besieged landowners while bearing the duty of endurance to the surrounding landowners. The right of passage for the surrounding land is a problem that ha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recent years due to population concentration in cities, soaring land prices, and delays in urban planning. And it arises as a problem of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adjacent land owner who want to use limited land as efficiently as possible.
    The provisions of neighboring relations of under civil act amount to about 30 articles. In 2011, the Civil Law Revision Committee of the Ministry of Justice proposed amendments by reviewing the obligation to cite smoke, etc. (Articles 217 and 220), the right to pass the surrounding land (Articles 219 and 220), and the boundary invasion building (Article 242-2 as a new provision). Therefore, this paper briefly describes the contents of the right to pass the surrounding land stipulated in the Civil Law Real Rights section and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amendments to the right to pass the surrounding land discussed in 2011 and 201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