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콘텐츠 계약법에 관한 민법 개정안 소고 (Study of Civil Code Amendment Draft on Digital Contents Contract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3.02
27P 미리보기
디지털콘텐츠 계약법에 관한 민법 개정안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39권 / 4호 / 217 ~ 243페이지
    · 저자명 : 이재호

    초록

    우리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기술과 문화가 진화하는 디지털 사회에 살고 있다. 우리의 사법도 이러한 급격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법무부는 2022년 12월 디지털콘텐츠 및 디지털서비스 제공계약을 규율하기 위한 “디지털콘텐츠 계약법”을 도입하는 민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였다. 독일은 2022년 초 EU디지털지침의 국내법 전환작업으로 디지털제품 계약에 관한 독일 민법개정을 시행하였다. 독일 민법개정은 EU디지털지침을 바탕으로 디지털계약을 반영하는 입법적 노력이 투여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민법의 내용과 체계적 정합성을 맞추기 위한 노력이 투여된 결과물이다. 이러한 점에서 독일 민법의 내용과 형식은 우리 법에 시사하는 바가 아주 크다. 이에 우리 민법개정안을 독일 민법의 내용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해 보고, 3가지 측면에서 보완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입법목적으로 이용자 보호를 주장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보호에는 미흡하다. 디지털계약의 담보책임을 도입하였으나, 이를 입증하기 위한 제품의 하자를 확정하기 위한 하자의 개념과 기준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 나아가 이용자 보호를 위하여 디지털제품의 제공 및 하자에 대한 입증책임을 제공자에게 전환하거나, 이용자의 입증책임을 완화하는 개정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디지털제품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는 개정안이 되어야 한다. 즉, 개정안은 디지털제품 개념의 신설, 디지털제품의 업데이트 제공 그리고 제공자의 변경권 등을 추가하였다. 개정안은 사용자의 급부에 대한 이용자의 반대급부로 대가를 규정하고 있으나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서비스 이용의 대가로 개인데이터로 결제의 가능성을 열어두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또한 디지털제품의 재생산에 추가비용이 들지 않는 점을 고려하여 제공자의 제품 변경에 대하여 이용자에게는 추가적 비용을 부과하지 않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하자로 인해 계약이 종료되는 경우, 개정안은 이용자와 제공자간의 반환관계에 대하여 규정하지 아니하였다. 또한, 제공자의 담보책임과 관련하여 손해배상도 특별히 규정하지 않았다. 새로이 도입되는 디지털제품 제공계약 개정안이 기존의 민법규정과 조응될 수 있도록 보완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We live in a digital society. Korea Civil Code must be changed to respond to rapid changes in our society. In December 2022, the Ministry of Justice made a legislative notice of an amendment to the Civil Act to introduce the “Digital Contents Contract” to regulate contracts for the provision of digital contents and digital services. In this regard, in early 2022, Germany implemented a revision of the German Civil Code regarding digital product contracts as a domestic law conversion work for the EU Directive. The revised German Civil Code is the result of not only legislative efforts to reflect digital contracts based on the EU Directive, but also efforts to match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German Civil Code and systematic consistency. In this Points, the content and form of the German Civil Code have great implications for our Civil Code. Therefore, i would like to evaluate our Civil Code revision in a comparative manner with the contents of the German Civil Code, and present the need for supplementation in three aspects.
    First of all, user protection is claimed for legislative purposes, but practical protection is insufficient. The responsibility for the warranty of Digital Contracts was introduced, but the concept and criteria for defects to prove it were not presented in detail. Furthermore, for the practical protection of users, The burden of proof of providing digital products and defects of digital products must be shifted to the provider or to ease the burden of proof for users.
    Next, it should be amended that proper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products. In other words, the amendment added a new concept of digital products, provision of digital product updates, and the provider's right to change products. The amendment stipulates compensation as a user's return to the user's benefit. However, it did not stipulate the possibility of payment with personal data in exchange for digital services.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additional cost for reproduction of a digital product, no additional cost should be imposed on the user for changing the product of the provider.
    Lastly, when the contract is terminated due to a defect in the product, the amendment did not stipulate the return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provider. The new provisions of digital products contract must be supplemented to match the existing civil co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