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형사절차에서 상해진단서의 공정성 확보 방안 (Study to ensure the impartiality of medical certificate of bodily injury under criminal procedur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0.11
26P 미리보기
형사절차에서 상해진단서의 공정성 확보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0권 / 4호 / 73 ~ 98페이지
    · 저자명 : 송도근, 김성룡

    초록

    인간의 신체를 보호법익으로 하는 범죄에서 상해의 발생 여부 및 그 정도는, 법정형의 경중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점에서 차이를 야기한다. 그런데 법원은 의사가 발급한 진단서에 높은 정도의 증명력을 부여함으로써, 진단서의 내용을 토대로 상해의 발생 여부와 그 정도를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진단서가 피의자・피고인의 이해관계는 반영되지 않고 피해자 위주로 일방적으로 작성된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진단서에 높은 정도의 증명력을 부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하겠다. 특히 증명력의 범위에 있어서, 법원이 진단서에 피고인의 상해사실에 대한 증명력까지 부여하는 것은, 상해 사건에 있어서 진단서를 매개로 하여 무죄추정의 원칙이 실질적으로는 유죄추정의 원칙으로 변질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하지만 의학 전문가가 아닌 법관이, 의사가 발부한 진단서의 내용과 다른 판단을 내리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므로, 진단서가 상해의 발생 여부 및 그 정도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것은 다소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이와 같은 진단서의 기능을 인정한다면, 상해의 발생 여부 및 그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은, 진단서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즉 여태껏 실무적으로는 치료기간이 1주 내지 2주에 그치는 경미한 상해의 경우에도, 쉽게 진단서가 발급되는 관행이 없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관행을 개선하여 진단서의 공정성을 확보한다면, 법원이 진단서에 높은 증명력을 부여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를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필자는 나름대로 진단서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 보았다. 다만 필자가 진단서의 공정성 확보 방안으로 제안한 내용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으나, 필자는 본고가 형사절차에서 진단서의 증명력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진단서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논의의 장을 넓히는 하나의 단초가 되기를 희망한다.

    영어초록

    The occurrence of bodily injury or not and the degree of it in crime which is against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regarding human body incur the difference in many ways including the degree of severity in statutory punishment. Yet the Court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bodily injury or not and the degree of it based on the content of medical certificate by granting high credibility of probative power to medical certificate issued by doctors. However, granting high credibility of probative power to medical certificate is not appropriate, given that medical certificate does not reflect the interests in the suspect and the defendant but be made unilaterally leaning to the victim. Especially regarding the range of probative power, granting probative power about the fact of bodily injury to medical certificate causes the issue that the assumption of innocence can deteriorate to the assumption of guilt substantially by medical certificate in the case of bodily injury.
    Since judges not as medical experts don't seem to be easy to make different decision from the content of medical certificate issued by doctors, it is unavoidable to some degree that decision of the occurrence of bodily injury or not and the degree of it are based on medical certificate. Acknowledging the function of medical certificate like this, realistic alternative to decide the occurrence of bodily injury or not and the degree of it accurately is to ensure the impartiality of medical certificate. Because medical certificate tends to be issued easily till now even in the case of actually mild bodily injury which requires one or two weeks of medical treatment, the issue incurred by the Court by granting high credibility of probative power to medical certificate can be more or less solved if the impartiality of medical certificate is ensured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this current custom. Therefore, the author has studied on ways to ensure the impartiality of medical certificate in its own way. Although it would leave much to be desired, the author hopes that this thesis could be the threshold of a forum for discussion which leads to pointing out issues as to probative power of medical certificate under criminal procedure and ensure the impartiality of medical certific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