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반전」을 통해 본 18세기 조선의 사회신분 질서 (Yangban-jeon and the Social Status Systemin 18th-Century Joseon Kore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1.03
33P 미리보기
「양반전」을 통해 본 18세기 조선의 사회신분 질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81호 / 55 ~ 87페이지
    · 저자명 : 계승범

    초록

    이 연구에서는 「양반전」을 통해 18세기 조선의 신분 질서를 조명하였다. 먼저 18세기 조선사회의 신분 질서와 관련하여 「양반전」을 해석한 기존 학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양반전」은 18세기 조선의 신분 질서가 동요하고 붕괴하던 정황을 잘 보여주는 증거물로 널리 회자하였다. 일부 반론이 제기되기는 했지만, 조선 후기 신분 질서의 와해라는 인식 틀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양반전」의 내용만으로는 그런 해석을 도출할 수 없다. 오히려 당시 양반이 주도하던 신분 질서가 꽤 강고했음을 보여준다. 「양반전」에는 가난한 정선 양반 외에도 다양한 양반 군상이 등장하는데, 사회 지배층으로서 그들이 현실에서 누리던 신분적 지위는 매우 확고하였다. 가난한 양반을 당시 조선을 대표하는 양반으로 일반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해방 후 반세기가 지나도록 학계에서 「양반전」을 전통적 사회신분제 철폐를 주장한 작품으로 파악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여기서는 해방 이후 1980년대까지 국내 역사학계의 통설처럼 군림하던 일부 학설을 「양반전」 이해를 방해한 주요인으로 꼽았다. 자본주의 맹아론의 허구성, 납속의 실상에 대한 오해, 신분제 ‘동요’론의 허점, 신분의 개념 문제 등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살폈다.

    영어초록

    With emphasis on the social status system of Joseon Korea in the mid-18th century, this paper reexamines Yangban-jeon, a satirical short story written by Pak Jiwon in the 1740s, to understand the fact that Pak neither criticized the social status system nor described the reality in which the system was in decline due to the new phase of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time. Many an existing study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Yangban-jeon never hesitated to accept Yangban-jeon as a literature showing the collapse of the social status system in the eighteenth century despite some criticisms. The content of Yangban-jeon, however, vividly shows that the social status system of the time was working well without serious challenge. A number of diverse ruling yangban elites appears in the story of Yangban-jeon. Many of them still enjoyed their social status as yangban, although some suffered from economic hardship as seen in the case of poor yangban in the Jeongseon prefecture. It is not reasonable to generalize a certain yangban in poverty as if he represents the whole ruling yangban class. Misinterpretations of Yangban-jeon was a product of historical interpretations, prevalent in the 1960s through 1980s, such as the theory of bud of capitalism, misunderstanding of the grain contribution policy and the hereditary social status system, and the ambiguous concept of the social status, among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