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남해 도서지역 민가의 근대성 연구 (A Study on the Modernity of Folk House in Southwestern Islands of South Korea)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5.06
9P 미리보기
서남해 도서지역 민가의 근대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17권 / 3호 / 63 ~ 71페이지
    · 저자명 : 김지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서남해도서지역의 근대민가 연구를 통해 건축 및 주거사의 특징을 고찰하려는데 있다.
    본 연구에 직접적으로 활용한 근대 민가는 모두 21채이며 이들의 건립 시기는 주로 1900년대 초중반이다.
    본 연구의 핵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가에 근대성을 도입한 주체는 역시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던 지역의 유지였다. 그들은 거주지 주변에 많은 토지를 보유했던 대지주가 많았고 기타 염전을 경영하고 상업도 하였다.
    둘째, 개개 건물의 규모가 커지고 특히 하의도 민가의 경우 ‘ㄱ’ 자형 안채, 그리고 2층 한옥의 등장은 매우 이례적인 건축형식으로 여겨진다.
    셋째, 안채나 사랑채의 내부 공간구성에서 상당한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과거 전통민가에서는 전혀 볼 수 없었던 마래 측면(이곳에서는 마래 쪽을 건물의 머리라고 생각하고 위계상 제일 높다고 함)에 실들이 들어서고 마래와 안방 사이에도 마루방(대청)이 배치된다.
    넷째, 집의 구조나 양식 등은 도시의 형식을 주로 채택했다.

    영어초록

    The Southwestern islands, which has been involved in the old fashioned custom, came to face with various modern cultures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More specifically, a new type of architecture (plane, structure, material etc.) appeared in the folk houses in this a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architecture and housing through a research on the modern folk houses in Southwestern islands of South Korea. No study has ever explored the modern folk houses in this area.
    The 21 modern folk houses are directly involv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built in the early and mid-1900’s. About 100 houses are also involved in a comparative stud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the introduction of modernity into the folk houses was expectably the local influentials from wealthy backgrounds. Most of them were the large landowners who held lots of land around their residence, operating their salt pans and businesses. They witnessed the modernization of the cities, especially Mokpo, and applied the new cultures and styles to buildings in their hometown.
    Second, similar to the conventional folk houses, this new architecture consists of a main building (Anchae) and detached houses (Sarangchae). However, it is remarkable in that each building became bigger and that an L-shaped main building and a two-storied Hanok (Korean traditional house) appeared in the folk houses of Haido.
    Third, a significant change was confirmed in the interior spatial composition of main and detached houses. Rooms began to be arranged at the side of the Marae which had not been observed in the old folk houses (Marae is considered a head of a building and a highest position of entire buildings in these regions). A wooden floor was located between the Marae and a main room.
    Fourth, the building structures and styles adopted urban patterns. For example, they used a Japanese roofing tile as the roof materials because it is easier to handle and cheaper than a Korean one. They also placed a door with horizontally sliding window in front of the wooden porch (Toenmaru) to make better use of interior space. In addition, gentrification was facilitated by the fabrication of the stylobate and foundation st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