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세대의 ‘미적 체험’과 ‘자기번역’ 과정으로서의 시쓰기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n Writing a Poem as a 'Self-transla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in Postwar Generation Literature in Korea -Focused on Kim Suyoung's 'A note of writing poem'(1966))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6.10
42P 미리보기
전후세대의 ‘미적 체험’과 ‘자기번역’ 과정으로서의 시쓰기에 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60호 / 313 ~ 354페이지
    · 저자명 : 한수영

    초록

    이 글은 ‘미적 체험(aesthetic experience)'과 ‘자기번역(self- trans lation)’이라는 개념을 통해 전후세대의 시쓰기 과정과 그 의미를 재구성해보기 위해 쓴다. 일반적으로 ‘자기번역’이란 개념은 ‘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다른 사람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기 스스로 번역하는 것’을 가리킨다. ‘번역’이든 ‘자기번역’이든, 원저작물(source text)과 번역된 저작물(translated text)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방법론적 개념으로 동원하고 있는 ‘자기번역’의 과정에는 원저작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특이성이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그것은 존재하지 않지만 동시에 존재한다. 그 모순을 설명하고 해결하는 것이 이 논문의 또 다른 목적이다. 주지하다시피, 전후세대의 문인들은 대부분 1920년 ~1930년대 초반에 태어나 식민지시기에 제도교육을 받고 해방 후에 한글을 익혔다. 많은 전후세대 문인들이 문해자(文解者; literate person)로서의 경로와, 한글로 표현하기의 어려움에 대해 토로한 바 있다. 그 과정에서 우리가 도달하는 일반적인 추론은, 식민지시기의 교육․문화 환경으로 인해 일본어가 더 능숙했지만, 해방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한글 표현에 익숙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후세대의 시쓰기 과정을 현상학적으로 추론해볼 때, 이러한 결론은 매우 소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주목하는 전후세대 시인은 김수영인데, 특히 그가 「시작노우트(1966)」라는 일련의 에세이에서 밝힌 고백과 주장은, 전후세대의 시쓰기 과정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근본적으로 다시 고민하도록 만든다. 김수영은, 자신을 포함한 전후세대의 시쓰기에서 ‘일본어’가 사라지지 않고 여전히 시쓰기의 과정에 ‘개입’한다는 사실을 고백했다. 그는 자신의 시가 ‘번역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는 이 ‘자기번역으로서의 시쓰기’가 오히려 단일언어(혹은 모어)에 속박되는 것보다 더 바람직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기번역’이라는 개념은, 전후세대 시쓰기 과정에서 은폐되거나 사라진 ‘일본어’의 존재와 그 성격을 재확인함으로써, 전후세대 시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로와 수단이 되리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reconstruct the process of the writing a poem in Korean postwar generation through the concept of 'self-translation'. Generally, 'self-translation' is a translation of a source text into a target text by the writer of the source text. Whether it is a translation or a self-translation, there is a source text and target text. But the unique point of 'self-translation' as the main concept in this article is that the source text does not exist in the process of writing a poem. If more precisely speak, it exists and does not exist at the same time. Obviously it is a kind of contradiction. To explain the circumstances around the contradiction is the another purpose of this article. As we know well, the postwar generation in Korea had distinctive environment of education and culture. Most of them were bilinguals. They were born and educa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 lot of them have complained the difficulties about writing and reading in 'Hangeul', the Korean alphabet. We could infer based on that fact like this; the postwar generation suffered from writing and reading in 'Hangeul' immediately after 'Independence', but they gradually became accustomed to expressing in 'Hangeul'. But this inference is too simple. I want to pay attention in this paper is Kim Suyoung(1921~1968), a famous poet.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note his essay 'A note of writing poem '(1966), because it has made us to think again about the process of writing poem in postwar generation. He confessed that the Japanese language was still involved in writing poem have not disappear. He argued that his poems were translated from Japanese, and the writing poem as a 'self -translation' is much better than being bound to the single, monolingual, national 'mother tongue'. We can realize the existence of Japanese which has concealed in the process of writing poem through the concept of 'self-translation', therefore more obviously can understand the nature of postwar generation's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