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간투자법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실시협약이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하는지 여부 (Whether a Concession Agreement Concluded Based on the Act on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Infrastructure Constitutes a Bilateral Contract Unfulfilled by Both Parti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1.12
38P 미리보기
민간투자법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실시협약이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하는지 여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58호 / 625 ~ 662페이지
    · 저자명 : 김유성

    초록

    우리나라 민간투자사업의 추진규모는 2020년 누계 133조 원에 이르는데, 2006년 이후에는 최소운영수입보장사업을 시행하지 않음에 따라 민간투자사업의 경제성이 예상치를 하회하는 경우 주무관청과 민간투자업자 사이에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 민간투자사업이 실패하여 사업시행자가 여러 법률적 수단을 강구하여 주무관청을 상대로 투자금의 반환을 요구하는 경우가 여러 사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대상판결에서는 파산한 사업시행자의 파산관재인이 이 사건 실시협약을 해지할 수 있는지가 문제 되었다. 해지를 인정한다면, 사업시행자는 주무관청으로부터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탈출구(Exit Option)를 보유하게 된다. 이 경우 민간투자사업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이 사건 조항에 의한 해지가 인정되지 않고, 주무관청도 실시협약을 해지하지 않는다면, 사업시행자의 파산관재인은 관리운영권을 환가하여 파산채권자에게 배분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관리운영권의 시장가치가 없다면, 파산관재인은 환가를 포기하고 파산절차를 종료하게 된다.
    대상판결은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이하 ‘민간투자법’이라 한다)에 근거하여 체결된 실시협약에도 이 사건 해지조항이 직접 적용되거나 유추적용될 수 있음을 인정하였고, 이 사건의 경우 민간투자법과 이 사건 실시협약의 구체적인 내용, 파산 당시의 구체적인 이행 정도 등을 고려하였을 때 파산관재인이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임을 이유로 이 사건 실시협약을 해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대하여 이 사건 해지조항이 유추적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별개의견과 이 사건 해지조항이 적용되며,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한다는 반대의견이 있었다.
    대상판결은 이 사건 해지규정이 민간투자법상 실시협약에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최초로 판시하였다는 것, 나아가 공법상 계약에 사법상 계약에 관한 법리를 유추적용하는 기준 등에 관하여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향후 공법상 계약 내지 공법관계에서 사법규정이 유추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적용될 수 있는 법리와 그 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판결이 다수의견의 결론 위주로 검토되어서는 안 된다. 다수의견은 민간투자법이 적용되는 실시협약이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해석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별개의견은 공법상 계약 등 공법관계 전반에서 사법규정이 유추적용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반대의견은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의 일반 법리를 한 단계 발전시켰고, 기존 판례가 공법상 계약에 사법규정을 직접 적용하여 왔음을 논증하면서, 앞으로도 직접 적용되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였다.
    대상판결을 기초로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관한 법리 및 공법상 계약 내지 공법관계에서 사법규정이 유추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행정법학계 및 도산법학계의 연구가 보다 성숙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South Korea’s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PPP) worth KRW 13.3 trillion in aggregate as of 2020; as private capital investment projects were no longer guaranteed minimum revenue since 2006 onwards, the likelihood of a dispute between the competent authority and a private investment increased in a case where the cost-benefit analysis for PPP came below the estimate. As a result, we are seeing a surge of cases where a project implementor seeks a return of investment capital against a competent authority through various legal measures. At dispute in the subject case is whether a bankruptcy trustee of a project implementor in bankrupt can terminate the instant concession agreement. If termination is granted, the project implementor has an exit option by which it can recover the investment capital from the competent authority. In such case, projects funded by private entities can be further facilitated. If termination under the instant provision is not granted and the competent authority does not terminate the concession agreement, the bankruptcy trustee of the project implementor would convert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right and distribute the liquidated assets to the bankruptcy creditors. Where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right does not have a market value, the bankruptcy trustee relinquishes conversion and ends the bankruptcy process.
    The subject case recognized that a concession agreement concluded pursuant to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Act may be subject to either direct or analogous application of the instant termination clause, and determined that in the instant case, the bankruptcy trustee may not terminate the instant concession agreement on the grounds that the instant concession agreement is a bilateral contract unfulfilled by both parties, considering the details of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Act, the instant concession agreement, and the specific progress of the agreement at the time. There were a concurrence that the instant termination clause ought not be applied by analogy and a dissenting opinion that the instant termination clause does apply and the instant concession agreement constitutes a bilateral contract unfulfilled by both parties.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case can be found in that: (i) it is the first ruling on whether the instant termination clause may be applied to a concession agreement under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Act; (ii) it provided a beginning point for discussion on the standard for analogous application of the legal doctrine concerning a contract under private law to a contract under public law; and (iii) it formulated the legal doctrine applicable to the question of whether provisions under private law are applicable going forward to a contract under public law or relationships involving public authorities. Therefore, the examination of the subject case must not simply focus on the conclusion of the Majority Opinion. The Majority Opinion suggested the standard for interpretation of whether a concession agreement governed by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Act constitutes a bilateral contract unfulfilled by both parties. The Concurring Opinion provided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whether private law provisions may be analogously applicable in the relationships involving public entities, including a contract under public law. The Dissenting Opinion developed the general legal doctrine regarding a bilateral contract unfulfilled by both parties one step further and reasoned that previous rulings have directly applied private law provisions to a public contract, providing reasons why it should be directly applied in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subject case will afford ground for further in-depth studies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law and bankruptcy law with regard to the legal doctrine concerning a bilateral contract unfulfilled by both parties and whether private law provisions may be analogously applied to a public contract or relationships involving a public auth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