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쌍방향 균형 커뮤니케이션으로서 공유된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신장투석환자의 커뮤니케이션 중심 분석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hared decision-making as a two-way symmetrical communication process :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of kidney dialysis patients)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1.04
43P 미리보기
쌍방향 균형 커뮤니케이션으로서 공유된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신장투석환자의 커뮤니케이션 중심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5권 / 2호 / 162 ~ 204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안순태, 김세중, 류동열, 김환희

    초록

    본 연구는 의료현장에서 공유된 의사결정의 개념을 검토하고 쌍방향 균형 커뮤니케이션으로서 공유의사결정 시스템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영향 요인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유의사결정이 필요한 질병 이슈로서 만성콩팥병을 선정하고 만성콩팥병으로 인해 신장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FGI를 진행했다. 투석유형별 환자의 커뮤니케이션 차이, 투석 유형별 환자가 인지하는 의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영향요소 그리고 공유된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투석유형별 환자가 인지하는 의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을 알아보고자 환자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요인, 심리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 혜택과 장애요인과 커뮤니케이션 성향을 질문했다. 인터뷰 결과, 위험인식, 불확실성인식, 커뮤니케이션행동(정보성향), 시간활용과 의사에 대한 태도에서 투석유형별 환자의 차이가 나타났다. 혈액투석환자는 투석방법과 관련된 불확실성, 불편함과 관련된 위험요소를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혈액투석방법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복막투석환자는 투석방법이 지닌 상대적인 장점과 이점에 기대어 투석방법을 결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투석환자들은 병원에서 의료진에 의한 치료관리에 대한 신뢰 및 안도감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의료상황에서 직면할 수 있는 불확실성에 대한 반감이 복막투석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불확실성을 인내하기 보다는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투석환자는 건강 관련 정보를 찾음으로써 치료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자 하는 정도가 복막투석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활용이라는 부분은 투석환자에게 있어 큰 중요도가 있는 부분이었다. 혈액투석환자와 복막투석환자 모두 의사에 대한 높은 신뢰를 보였으나 의사를 만날 기회가 잦은 혈액투석환자에 있어 의사는 인생동반자의 의미로, 복막투석환자에게는 일상을 관리해주는 역할 인식이 더 부각되었다. 환자들은 공통적으로 투석방법 결정을 위한 충분한 상담시간의 부족, 주치의가 제공하는 정보의 양적, 질적 한계, 그리고 의료진 외에 투석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로부재를 커뮤니케이션 한계로 꼽았다. 본 연구는 의사 환자 간 균형적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공유의사결정의 의미를 연계하고 의료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환자중심의 커뮤니케이션 촉진을 위한 청사진을 제공했다는 데에 학문적인 의미가 있다. 향후에는 의료현장에서 공유의사결정이 필요한 다양한 이슈에 본 논의를 적용함으로써 의사와 환자 그리고 사회가 함께하는 이루어가는 균형적 커뮤니케이션 실천에 대한 노력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articulating the concept of shared decision-making in medical encounter an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doctor-patient communication as a two-way symmetrical communication process. To this end, chronic kidney disease was selected as a case requiring shared decision-making, and FGI was conducted for 20 patients undergoing kidney dialysi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how is the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mong patients according to the kidney dialysis modality?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doctor-patient communication that patients perceive according to the dialysis modality?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doctor-patien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dialysis modality (hemodialysis, peritoneal dialysis) in the shared decision-making process? Analysis of interviews founds some interesting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 groups by dialysis modality. It seems that hemodialysis patients tend to choose the dialysis modality in order to avoid or minimize risk factors such as uncertainty and discomfort related to the dialysis method, whereas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choose the dialysis modality based on the perceived relative advantages of the dialysis method. Hemodialysis patients showed confidence and relief in the management of treatment by medical staff in hospitals, and their ambiguity aversion encountered in medical situation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Therefore, it can be said hemodialysis patients are uncertainty avoiders rather than uncertainty tolerators. Hemodialysis patients also showed a relatively lower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reatment process by seeking health-related information compared to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Both hemodialysis patient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showed high trust in doctors. It seems that the doctor is a life companion for the hemodialysis patients since hemodialysis patients visit and see their doctor more frequently and a daily supervisor for the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ho seldom visit and see their doctor. In addition, patients pointed out some communication limitations such as a lack of sufficient communication for decision making of treatment choice, the limited quantity and quality of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hysician, and channel deficiency to obtain dialysis-related information other than medical staff.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a blueprint for facilitating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in medical encounters by linking the meaning of shared decision-making based on two-way symmetrical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In the future, by applying various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to the issues that require shared decision-making in medical encounters, efforts to practice symmetrical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patients, and society should be exten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