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및 신체비교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신체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Effects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Physical Comparison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 :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n Body Sham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3.06
18P 미리보기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및 신체비교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신체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강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18권 / 2호 / 345 ~ 362페이지
    · 저자명 : 류애리, 송원영

    초록

    본 연구는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및 신체비교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신체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 지역의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8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평가도구로는 한국판 식사태도검사(KEAT-26),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척도(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cale; SATAS), 신체비교 척도(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Scale; PACS, Specific Attributes Comparison Scale; SACS), 신체 수치심 척도(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및 신체비교는 이상섭식행동 및 신체 수치심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신체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에서도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및 신체비교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신체 수치심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이상섭식요인들뿐 아니라 올바른 신체상과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체중에 대한 기대가 섭식장애나 비만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관련 논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 등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body shame when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physical comparison affect disordered eating behavior. For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emale undergraduates of K-university in Chung-Nam and Dae-Jeon, South Korea. Data of 280 undergraduates were analyzed. In order to sort out female undergraduates who have a possibility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 Korean Eating Attitude Test-26 (KEAT-26) was used which have been standardized what Garner and Garfinkel developed and amended. To measure the internalization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cale (SATAS) was used, which was a test that Jung-Shin Moon has adapted from what Cusumano and Thompson developed. To measure the physical comparison, 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Scale(PACS), which was a test that Eun-Jung Son has adapted what Tantleff developed, and Specific Attributes Comparison Scale(SACS), which was a test that Eun-Jung Son adapted what Tiggermann and Mcgill developed, were used. To measure body shame, eight questions regarding body shame from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ed by Mickinley and Hyde, were used, which were a test that Eun-Jung Son has adapt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the PASW 18.0 program using collected data. The consequences of this research are follows: First,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physical comparis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 as well as with body shame. Body shame, also,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se consequences show that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dergraduates could increase due to body shame particularly when they have a high level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physical comparison. Second, the body shame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physical comparison and the disordered eating behavior. Consequently, it is crucial to decrease the level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physical comparison, however first step is to educate females about their physical appearance so that they can decrease the level of body shame, which implies that eating disorder caused by disordered eating behavior can finally decrease. Likewise, further discussion and proposals for following researches are propo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