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환자실 환자의 집중치료 경험 및 관련 요인: 이차분석 연구 (Intensive Care Experience of Critical Care Patients and Its Related Factors : A Secondary Analysis Study)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3.10
13P 미리보기
중환자실 환자의 집중치료 경험 및 관련 요인: 이차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환자간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환자간호학회지 / 16권 / 3호 / 11 ~ 23페이지
    · 저자명 : 강지연, 우효정

    초록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ces of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experiences. Method : We used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to analyze previously collected cohort data from 891 patients who spent over 24 hours in 19 ICUs across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South Korea between June 2019 and July 2020. Within a week of ICU discharge, participants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nsive Care Experience Questionnaire, covering four areas: “awareness of surroundings,” “frightening experiences,” “satisfaction with care,” and “recall of experiences.” We us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CU experience. Results : Low income (β = -.08, p = .016), unplanned hospitalization (β = -.09, p = .006), sedation (β = -.16, p < .001), and delirium (β = -.15, p < .001) reduce patients’ awareness of their surroundings. Frightening experiences are associated with being female (β = -.07, p = .027), experiencing delirium(β= -.15, p<.001), and longer stays in the ICU (β= -.14, p <.001). Using sedatives decreases satisfaction with care (β = -.08, p = .048). Living alone (β = -.08, p = .013) and using painkillers (β = -.08, p = .020) reduces recall of experiences. Conclusion : Negative ICU experienc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ing female, living alone, lower income, unplanned admission, using sedatives and painkillers, delirium, and longer stays in the ICU. Thus, improving ICU experiences requires interventions that address modifiable factors, such as delirium, medication, and length of ICU stays.

    영어초록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ces of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experiences. Method : We used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to analyze previously collected cohort data from 891 patients who spent over 24 hours in 19 ICUs across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South Korea between June 2019 and July 2020. Within a week of ICU discharge, participants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nsive Care Experience Questionnaire, covering four areas: “awareness of surroundings,” “frightening experiences,” “satisfaction with care,” and “recall of experiences.” We us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CU experience. Results : Low income (β = -.08, p = .016), unplanned hospitalization (β = -.09, p = .006), sedation (β = -.16, p < .001), and delirium (β = -.15, p < .001) reduce patients’ awareness of their surroundings. Frightening experiences are associated with being female (β = -.07, p = .027), experiencing delirium(β= -.15, p<.001), and longer stays in the ICU (β= -.14, p <.001). Using sedatives decreases satisfaction with care (β = -.08, p = .048). Living alone (β = -.08, p = .013) and using painkillers (β = -.08, p = .020) reduces recall of experiences. Conclusion : Negative ICU experienc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ing female, living alone, lower income, unplanned admission, using sedatives and painkillers, delirium, and longer stays in the ICU. Thus, improving ICU experiences requires interventions that address modifiable factors, such as delirium, medication, and length of ICU st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환자간호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