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지역 신라토우 유형 검토 (A Review of the Types of Silla Clay Figurines from Gyeongju A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5.09
26P 미리보기
경주지역 신라토우 유형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46권 / 69 ~ 94페이지
    · 저자명 : 손명순

    초록

    본 논문은 신라의 수도 경주에서 출토된 신라토우에 대하여 출토유적별 유형을 검토한 것이다. 신라토우의 대부분은 일제강점기 황남동 일대 석곽묘에서 출토됨에 따라 특정계층이나 집단의 무덤이 아닐까라는 의문을 가지고 먼저 경주지역 출토 토우의 유형을 정리하여 출토유적에 따른 유형 분류 및 정형성의 유무를 검토하였다.
    토우의 등장은 왕릉급의 대형고분이 아닌 중소형의 적석목곽분에서 시작되었으며, 분묘유적에서 토우의 존속기간은 5세기 중후반에서 6세기대로 약 100년 내외이다. 적석목곽분 출토 토우의 경우 토기 표면에 한 점 혹은 두 점의 토우를 부착하였으며, 토우의 종류나 결합상이 단순하다. 6세기대에는 대부분 석곽묘에서 출토되었으며, 토우의 종류와 조합상이 다양해졌다. 이후 7세기대가 되면 토우장식토기를 무덤에 부장하는 풍습은 쇠퇴한 듯하며, 신라왕경내 생활유적에서 간헐적으로 토우가 출토되었다. 분묘유적에서 출토된 토우는 대부분 토기에 장식된 부착형이고, 생활유적에서는 부착형과 더불어 단독형의 토우도 함께 출토되었다.
    토우의 형식적인 특징을 보면 분묘유적에서 출토된 인물토우의 경우 성기를 과장한 경우가 절반이상이고, 얼굴에 가면 혹은 두건과 유사한 것을 쓴 모습, 물건을 머리에 이거나 등에 지고 있는 모습, 손을 앞으로 내밀고 공수(拱手)하는 듯한 모습, 잡기 및 악기연주상과 더불어 기마인물, 승선인물, 지팡이를 짚고 있는 모습은 장례의식 장면을 표현 한 듯하다. 생활유적에서 출토된 토우의 경우 출토위치가 불확실하고 파괴가 심하여 현재로서는 정형성을 찾기 어렵다. 다만 생활유적에서 분묘유적의 표지유물인 기마인물형토우와 마형토우가 지속적으로 출토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 분묘유적에서 다량 출토된 신라토우의 급격한 감소는 7세기대 법령의 규제를 받는 사회로의 변모와 불교의 도입으로 인한 장례의 간소화, 화장제도의 발달이라는 사회적 분위기의 반영으로 추정해 보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Silla clay figurines based on their excavation areas around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Most of Silla clay figurines were found in the stone lined tombs around Hwangnamdong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has led to a question whether those tombs were for a particular class or a specific group.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 the types of the clay figurines excavated from Gyeongju area have been sorted out, and existence of any stereotype was pursued.
    The introduction of the clay figurines of Silla were not from the large sized royal tombs, but from the small or medium sized stone-compiled wooden chamber tombs, and they lasted for about 100 years, ranging from the mid to late 5th century to the 6th century. The clay figurines from the stone-compiled wooden chamber tombs were with one or two small clay figurin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earthenwares, but the types and formation were simple. The clay figurines of the 6th century were mostly found from the stone lined tombs, and the types and combination of the figurines became various. Later, in the 7th century, the custom of burials of earthenwares decorated with clay figurines in the tombs seemed to be declined, they were found sporadically in the residential site inside the Silla royal precinct. The clay figurines excavated from the cemetery sites were mostly attached types, and those from the residential site of 7th century were, along with the attached type, independent type which was bigger than the attached type.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shaped clay figurines excavated in the cemetery sites were as follow. There were more than half of the human-shaped clay figurines with exaggerated genital organs, those with wearing a mask or a head-band, those with an object on the head or on the shoulder, those with hands stretching forward to show courtesy, those playing various instruments, those riding a horse, those getting on boat, and those with a cane which seems to depict funeral manners. The human shaped clay figurines excavated from residential site had severe damages, thus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ir original formation. It is notable that the horseback riding warrior figurines and the horse shaped figurines have been continuously found among the residential site. However, the clay figurines of Silla which were excavated in large quantities from the cemetery sites were dramatically reduced. This seems to have happened as the social reflection, which they had the simplified funeral procedure and the development of cremation system due to the fact the society transformed into the ordinance controlled one in the 7th century, and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