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1960년대 북한의 ‘혁명전통’ 확립과정과 역사인식의 변화 (The Process of Establishing North Korea's 'Revolutionary Tradition' and Its Changes in Historical Understanding in the 1950-1960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1.03
35P 미리보기
1950~1960년대 북한의 ‘혁명전통’ 확립과정과 역사인식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현실 / 119호 / 237 ~ 271페이지
    · 저자명 : 문미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항일무장투쟁이 ‘혁명전통’으로 신격화되기 시작한 시기인 1950~60년대에 주목하여, 북한의 ‘혁명전통’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굴’되고 정착되었는지 역사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북한사회에서 절대적인 규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혁명전통’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북한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유일한 ‘혁명전통’으로 복원하기 위해 김일성이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했던 지역을 답사하면서 관련 유적·유물을 조사·수집할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특히 1959년 5월 중국 연변을 답사했던 조사단은 5개월이라는 긴 기간에 걸쳐 김일성의 주요 활동무대였던 연변을 중심으로 200여 곳의 사적지를 답사하였다. 조사단의 ‘성과’는 전시회, 답사기 성격의 출판물 발간 등을 통해 북한 주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선전되었다. 북한 국내 혁명전적지 및 박물관 정비작업도 실시되어 김일성의 실제 전투활동이 벌어졌던 보천보와 양강도 일대가 ‘혁명전통’의 공간으로 자리잡았고, 보천보박물관을 비롯한한 각종 박물관들은 ‘혁명전통’ 교양의 학교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이렇게 ‘혁명전통’의 내용이 되는 역사의 발굴과 공간조형물 조성이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이를 활용하여 ‘혁명전통’을 선전하는 작업으로 나아가야 했다. 북한은 학생과 청년들을 중심으로 항일전적지 답사단과 답사행군을 조직하여, ‘유희’에 초점을 맞춘 체육활동의 일환으로 이를 추진하였다. 1959년부터 북한사회 전역을 휩쓴 『회상기』 학습과 ‘혁명전통’ 기념행사의 추진은 북한 주민들에게 ‘혁명전통’이 일상화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로써 항일유격대원은 북한 주민이라면 누구나 배우고 계승해야 할 준거집단이 되었다.
    북한이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에 걸쳐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에 ‘혁명전통’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게 되자, 역사서술과 역사교육의 방향도 이에 맞추어 변화할 수밖에 없었다. 혁명전통’에 입각해 서술된 『조선민족해방투쟁사』(1958)와 『조선근대혁명운동사』(1961)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만을 유일한 ‘혁명전통’으로 설정하고, 여기에 기반하여 모든 내용을 설명하였다. 이 같은 역사서술의 변화는 학교에서의 역사교육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항일무장투쟁 시기의 모든 일들이 해방 후 당 창건 준비를 위한 투쟁이었다는 점을 교육해야 했다. 또 교육현장에서는 다른 단위보다 훨씬 이른 시기부터 ‘김일성원수의 혁명활동연구실’이 설치되어 학생들을 ‘혁명전통’을 체화한 인간형으로 양성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storically analyze how North Korea's ‘revolutionary tradition’ was ‘discovered’ and settled in the 1950s and 1960s, when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began to be deified as the ‘revolutionary tradition’ in North Korea.
    In order to restore Kim Il 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s the only ‘revolutionary tradition’ North Korea sent investigation teams to investigate and collect related relics and artifacts while traveling to sites where Kim Il Sung staged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particular, in May 1959, a research team visited Yanbain, which was the main stage of Kim Il Sung's activities, and explored more than 200 historic sites over a long period of five months. The performance of the team was actively promoted to North Koreans through exhibitions and publications of records on the expeditions. The restoration of North Korea's domestic revolutionary sites and museums was also carried out, making the Bochonbo and Yanggang areas where Kim Il Sung's actual combat activities took place a place of ‘revolutionary tradition,’ while the Bochonbo Museum and other museums served as schools of ‘revolutionary tradition’ culture.
    As invention of the history and creation of spatial sculptures were the contents of the ‘revolutionary tradition,’ these had to be used to promote the ‘revolutionary tradition.’ North Korea organized field trips and marches to anti-Japanese war sites with students and young people in order to promote them as part of sports activities focused on ‘playfulness’. Encouraging North Korean people to study Memoir and commemorate ‘revolutionary tradition,’ which had swept the entire North Korean society since 1959,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everyday of people.
    As North Korea attached the meaning of ‘revolutionary tradition’ to Kim Il 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from the late 1950s to the early 1960s, the direction of history description and education was bound to change accordingly. History of Korean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1958) and History of Korean Modern Revolution Movement (1961) that were written based on ‘revolutionary tradition’ defined Kim Il Sung's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as the only ‘revolutionary tradition.’ Such changes in history description were reflected in history education in schools. Teachers had to educate their students that all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s were done to prepare for founding the Party after liberation. In addition, from a much earlier period than other units, ‘Research Group for Educating People about Kim Il Sung's Revolutionary Activities’ was established in education field to train students into human being that embodied the ‘revolutionary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