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목적으로서의 자기지식 (Self-knowledge As the Aim of Edu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7.02
27P 미리보기
교육목적으로서의 자기지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도덕교육연구 / 18권 / 2호 / 143 ~ 169페이지
    · 저자명 : 임병덕

    초록

    대화편 라케스에서 소크라테스는 그의 ‘무지’로 대화 상대자들을 용기의 진정한 의미, 즉 ‘자기지식’으로서의 용기로 이끄는 교육을 실천하며, 바로 그 실천에 의하여 ‘자기지식’으로서의 용기가 무엇인지를 드러내는 윤리학적 탐구를 시범하고 있다. 소크라테스의 교육방법을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에서 이해할 때, 소크라테스의 ‘무지’는 자기지식이 나타내는 삶과 교육의 목적, 즉 ‘자아가 곧 지식이요, 지식이 곧 자아인’ 경지로 이끄는 방편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은 기독교인의 형성 방안으로 변용된 소크라테스식 교육방법으로서, 특정 내용이 아니라 전달의 상황 전체에 대한 인식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달의 실천을 통하여 그 실천의 의미와 가치를 확립하는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을 예시한다. 간접전달은 엄밀한 의미에서는 ‘신의 전달’이라는 키에르케고르의 시각에서 보면, 교육실천은 ‘신의 전달’의 대행이요, 교육이론은 그것에 대한 ‘증언’이다. 윤리학은 교육의 목적을 심오하고 근본적인 수준에서 보여줄 수 있어야 하며, 이 점에서 그것은 교육실천을 증언하는 교육이론이어야 한다.

    영어초록

    In Plato's Laches, Socrates helps the participants by his 'non-knowledge' to define 'courage', which is conceptually related with 'self-knowledge'. The 'metapractical' reading of the dialogue results in the understanding that the practice of Socatic teaching must be deeply rooted in, and destined for, self-knowledge, the unity of self and knowledge. Self-knowledge, as the aim of education, can be justified only by the very practice of educa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psychological insights on the process of educational practice, focused on educational method as one aspect of the practice the other of which is educational aim. But it is hardly expected that this kind of justification and understanding have a proper place in the prevailing conceptions of ethics and psychology. It necessitates an alternative paradigm of ethics and psychology implied by 'metapraxis'.
    Kierkegaard's 'indirect communication', as a Socratic method made applied to 'practice in christianity', exemplifies a most remarkable 'metapractical' perspective that self-knowledge pursued as the true meaning of communication can be justified and made intelligible only by the practice of communication. For Kierkegaard, the indirect communication, in its strict sense, can be practiced only by Christ, and the utmost we can do is to take on the practice as an agent of the divine communicator. In the light of Kiekegaardian metapraxis, educational practice can be seen as the agency of divine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theory can be construed as a witness to it.
    As Wittgenstein noted rightly, ethics is meant for 'the thrust against the limit of language'. The only way to elucidate self-knowledge as the aim of education despite of its ineffability is referring it to the practice of education for realizing it. Ethics may be, in its true sense, as much as psychology, the educational theory to witness the practice of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덕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