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원시 도시재생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Research for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Planning in Changwon City)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1.12
15P 미리보기
창원시 도시재생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주거환경 / 19권 / 4호 / 195 ~ 209페이지
    · 저자명 : 박인철, 서유석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 창원시의 도시재생사업을 분석하여 창원시 도시재생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지금까지 진행된 사업의 성격과 연도별, 행정구역별 사업추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함 이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방법은 도시재생 관련 서적과 학위논문 및 학술지, 창원시 도시재생사업에 관한 각종 연구보고서 등 다양한 문헌을 고찰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 대상지는 통합된 창원시로, 시간적 범위는 마산과 진해, 창원시가 하나의 도시로 통합된 이후 통합 창원시에서 진행된 도시재생 관련 사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통합된 창원시의 도시재생사업들 중 국토교통부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에서 추진되었던 도시재생 관련 사업들을 선정하였다. 즉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사업 중 도시재생 선도사업, 도시활력증진사업, 취약지구 생활개선사업,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농림축산식품부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을, 해양수산부는 어촌뉴딜사업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창원시에서 진행한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을 조사하여 정부 부처별 사업유형을 구분하고, 사업별 연차추진현황과 사업이 진행된 행정구역별 현황, 사업의 유형별 현황을 구분하였다. 이렇게 구분한 요소들을 통해 실제 창원시에서 시행된 사업의 실태를 파악하여 창원시 도시재생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0년간 창원시에서 진행된 부처별 도시재생 사업지구인 30개소에 수립된 사업계획 및 사업 현황카드에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통한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부처별 도시재생사업 내용에 대해 분류는 이론적 고찰에 제시된 표의 부처별 기능별 사업 및 시행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7개의 포괄적 기능별 유형구분 틀을 마련하였다. 전체 사업은 Excel로 창원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 사업의 기능별 세부사업을 전수조사를 통해 코딩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근 10년간의 사업내용과 지역별, 사업성격별 세부적인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자료는 SPSS(VER.24) 통계패키지를 통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개 기능별 유형별로 사업별 빈도, 사업내용에 대한 빈도, 행정구역별 빈도, 연도별 사업내용에 대한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30개 사업추진지구에서 추진 중인 사업내용에 대한 경향과 추세를 제시하고 향후 사업추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tually practical al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elated to Changwon City for 10 years, and to research corelation and similarity , to study way of integration of them, This study conducted Contents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business plan and business status cards established at 30 urban regeneration business districts in Changwon City for 10 years. The geographical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Changwon City after after 2010 administratively integrated,(Masan, Jinhae, and Changwon were integrated into one city in 2010). Variou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onducted in Changwon were investigat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types of projects by government departments, the status of annual promotion by project, the statu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 status of projects. Through these distinguished factors,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actual status, derive problems of al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mplemented in Changwon City. The type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classified through a coding process with Excel software by conducting a complete investigation of the detail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Changwon City, and to establish seven comprehensive functional type classification frameworks. Thes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through SPSS (VER.24)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ystematically and balanced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rough the state-funded public offering, a strategy to respond in advance to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such as integrated management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Changwon Cit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collabor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is required. Also, Projects with high similarity, such as the project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in vulnerable areas, carried out simultaneously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equire project integration and unification of the Changwon Ci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iency of project implemen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주거환경”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