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琴川 鄭時修의 생애와 시 세계 (The Life and Poetry of Geumcheon Jeong Sis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12
44P 미리보기
琴川 鄭時修의 생애와 시 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97호 / 187 ~ 230페이지
    · 저자명 : 안세현

    초록

    본고는 조선 중기 거창의 충의지사인 琴川 鄭時修(1601~1647)의 생애와 시 세계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정시수는 병자호란 때 거창에서 의병을 일으킨 충의지사이다. 그는 청나라와 강화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크게 개탄하였으며, 이후 琴川齋에 은거하여 학문을 탐구하고 제자를 양성하며 여생을 마쳤다. 본고는 정시수에 관한 첫 연구이므로 정시수의 생애를 상세히 재구하고, 그의 은거 생활에서 시 창작이 중요한 의미를 지녔음을 밝혔다.
    정시수의 시 세계는 ‘忠義’와 ‘閑適’ 그리고 ‘諷諭’, 세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충의’는 임금에 대한 충정과 명나라에 대한 절의를 말하는데, 정시수는 제갈량의 충의를 지향하였다. ‘한적’은 세속의 명리를 멀리하고 자연에 은거하여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는 것인데, 정시수는 도연명의 한적을 추구하였다. ‘충의’와 ‘한적’은 공통적으로 세속의 명리에 뜻을 두지 않고 혼탁한 세상과 타협하지 않는 강개함과 담박함의 속성을 지녔다. 이는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책임 의식과 비판 정신의 소산이자 선을 권장하고 악을 징계하는 방법의 하나인 ‘풍유’와도 연관되었다. 정시수는 삶과 시 세계가 일치되는 면모를 보여주었는데, 이런 점에서 그의 시는 오늘날 다시 음미해 볼 가치가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fe and poetry world of Geumcheon Jeong Sisu(1601~1647), who was a righteous scholar lived in Geochang in the mid-Joseon period. Jeong Sisu was a righteous scholar who led an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Geochang during Byeongjahoran War. After hearing that Joseon had formed a reinforcement with the Qing Dynasty, he expressed great regret and retired to his hometown to pursue scholarship, cultivate disciples, and spend his remaining years.
    This paper first examines Jeong Sisu's life in detail and the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his poetry during his retirement. Next, Jeong Sisu's poetry world is divided into three aspects: ‘loyalty’, ‘seclusion’, and ‘satire’. ‘Loyalty’ refers to loyalty to the king and reverence for the Ming Dynasty, and Jeong Sisu pursued the loyalty of Jegalryang. ‘Seclusion’ refers to distancing oneself from secular Mingli and seeking to conform to the natural order by taking refuge in nature, and Jeong Sisu pursued the seclusion of Doyeonmyeong. Both ‘loyalty’ and ‘seclusion’ share a common attribute of not placing importance on secular Mingli and not compromising with the hazy world. This is related to ‘satire’, which is one way of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by cultivat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riticism towards the absurd reality.
    Jeong Sisu demonstrated the aspect of life that aligned with his poetry, making his poetry valuable to be appreciated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