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능동적 이용자와 정보기술의 상호구성 전자게시판 이용자를 중심으로 (Co‐construction of Active Us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A Case of BBS Users)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3.02
54P 미리보기
능동적 이용자와 정보기술의 상호구성 전자게시판 이용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 사회 / 21권 / 1호 / 184 ~ 237페이지
    · 저자명 : 조동원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이론적인 차원에서 이용자 능동성 개념을 재구성하고 역사적인 차원에서 능동적 이용자의 초기 형성 과정을 규명하는 데 있다. 우선 이 논문은 정보기술이 일방적으로 그 이용자의 능동성을 결정한다고 보기보다는 이용자와 정보기술이 상호구성한다는 관점을 채택하고,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내용, 논리, 물리의 세 층위 모두에서 이용자의 개입과 참여의 능동성이 가능하다고 보면서, 이용자의 능동적 행위능력을 재설정과 재매개로 개념화한다. 이를 이용자 능동성의 이론틀로 삼아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활발했던 전자게시판의 이용자 문화에 적용해 분석한다. 개인용 컴퓨터와 전자게시판의 이용에서 비싸고 불편한 문제적 상황을 정보의 공개와 공유를 통해 집단적으로 해결하고 개선하면서 나타난 초기 이용자의 능동성은 단지 정보(메시지)의 생산과 공유뿐만 아니라 그 물리적 하부구조를 마련하고 소프트웨어를 고쳐 쓰거나 새로 개발하는 해킹 활동에서 두드러졌다. 초기 이용자의 재설정과 재매개의 능동적 행위는 컴퓨터 통신망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온라인 공동체 미디어로 발전시키는 동력이 되었고, 정보기술의 민주화와 온라인 참여 문화의 활성화에 기여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both re‐|conceptualization of user’s activity theoretically and exploration of the early active user’s emergence historically. Most of established perspectives on user’s activity assume that digital media and information technology(hereafter IT) would enable users to be active, and their activity goes far up to the participation in production of message or content. Rather than IT’s determination of user’s activity as such, this paper takes an approach of co‐|construction of user and IT, and maintains that it would be possible for users to potentially intervene in and creatively participate in IT in all three layers of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logical and physical layer as well as content layer(message production). It also suggests reconfiguration and remediation as concepts of active user’s agency to creatively appropriate IT. As a case study, BBS(Bulletin Board System) users’ culture from the late 1980s till the early 1990s in South Korea is analyzed and assessed base on these theoretical frame. In the 1980s, personal computer users tried to establish their own computer network from below, whereas new data communication services similarly modelled on the broadcasting media system were initiated and launched by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When firstly introduced popular ITes such as personal computer and BBS, their early users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IT which were expensive and inconvenient at those days, and to improve the systems in terms of reconfiguration and remediation, ranging from content cre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to software development and even setup of their own physical infrastructure. All of those active user’ reconfiguration and remediation have transformed computer network technology designed and given from above as a consumption model into online community‐base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edia as a community model, which contributed to democratization of IT and promotion of participatory and active users’ online culture. So this paper argues that active users’ culture not emerged recently but existed at least since the introduction of popular ITes, and user’s activity was not granted by IT but was co‐|constructed with it, resulting from user’s intervention and appropri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needs and desi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