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델리의 따지아 행진에 나타나는 순니파와 시아파의 차이 및 역사적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tarian Differences and Their Historical Developments in Tazia Processions of Delhi)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4.05
38P 미리보기
델리의 따지아 행진에 나타나는 순니파와 시아파의 차이 및 역사적 변화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도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연구 / 19권 / 1호 / 1 ~ 38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델리에서 무슬림은 전체 인구의 약 12 퍼센트를 차지하며, 순니 무슬림의 수는 시아 무슬림의 3배에서 4배 정도가 될 거라고 추정된다. 델리의 무슬림은 무하람의 열 번째 날, 즉 아슈라에 대규모 거리행진을 행하는데, 순니파와 시아파는 이날의 의미를 다르게 해석하며 그것을 기념하는 방식에서도 크게 차이를 보인다.
    먼저, 순니파는 아슈라를 모세가 이집트의 파라오로부터 승리를 얻은 기쁜 날로 정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순니 무슬림들은 아슈라에 따지아 행진을 행한다. 따지아란 이맘 후세인의 묘당을 상징하는 구조물로서, 따지아를 빈터로 운반한 뒤 땅 속에 묻는 아슈라의 의식은 일종의 모의장례식이라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시아파는 아슈라를 후세인이 까르발라 전투에서 순교한 슬픈 날로서 기억한다. 시아파는 후세인의 죽음을 두 달 넘게 추모하는데 이 기간 중에 두 번의 따지아 행진을 개최한다.
    오늘날 델리에서 행해지고 있는 이러한 따지아 행진들은 역사적 변화들이 반영된 결과들이다. 후마윤이 시아파의 무슬림 왕조였던 사파비드에서의 오랜 망명생활을 끝내고 1555년 델리로 돌아올 당시 많은 시아 무슬림들이 그를 따라왔다. 이들 시아 무슬림들은 이라크의 까르발라까지 매년 순례를 떠날 수 없었으므로 대신 따지아를 만들어 아슈라를 기념했다. 무갈제국 시대에 따지아 행진은 순니파는 물론 힌두교도까지 참여할 정도의 대중적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영국식민지 시대에 정부의 새로운 정책들로 인하여 시아파는 경제적, 사회적 기반을 잃게 되었다. 그 결과로서 시아파는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서 후세인의 비극적 죽음을 강조하는 마땀, 줄제나 등이 아자다리에서 부각되어졌다. 그리고 이것은 시아파와 순니파가 각기 별도의 따지아 행진을 개최하도록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이처럼 따지아 행진들은 과거로부터 그대로 전수받은 전통이 아니다. 시아파는 따지아란 독창적 구조물을 창안하였고, 순니파의 따지아 행진은 그것을 행하는 분위기가 밝고 흥겹다는 점에서 시아파의 따지아 행진과 구별된다. 즉 인도의 따지아 행진들은 창조적 모방을 통해 시대에 적응하는 전통의 유연성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In Delhi, Muslims account for about 12% of the total population and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sects, the Sunnis and the Shias. Both of them hold Tazia processions on the 10th day of Muharram, or Ashura. However, the two sects interpret the meaning of Ashura differently and take out their own processions independently.
    First, the Sunni sect performs a Tazia procession on Ashura and defines Ashura as the day on which Moses won a victory from the Pharaoh of Egypt. In spite of this definition, the Sunnis carry Tazias which symbolize Hussain's mausoleum in the procession. Unlike the Sunnis, the Shia sect remembers Ashura as the day of martyrdom of Imam Hussain. The Shias mourn the death of Hussain over two months and, during this time, hold two Tazia processions, that is, Chehlum Procession and Black Tazia.
    Tazia processions of both sect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s of adaptations to changing historical environments. First, many Shia Muslims accompanied the second Mughal emperor Humayun when he returned to Delhi in 1555 after a long exile in Persia. But once settled in India, they could not go to Karbala in Iraq for Ashura commemoration because it was too far away now. Instead, they started carrying replicas of Hussain's mausoleum, or Tazias, to local Karbala Grounds on the day of Ashura and, in this way, creatively transformed 'Karbala Pilgrimage' into 'Tazia Procession'. Next, during the British Raj, Shia Muslims as a group experienced serious financial and social decline due to hostile colonial policies in the 19th century. In order to overcome the worsening socio-economic situation and identity crisis, the Shias newly added such provocative scenes as Matam, Zuljenah, etc. to Tazia processions which strongly reminded the tragic death of Hussain at Karbala. As a result of these changes introduced by the Shias but unacceptable to the Sunnis, the Sunni sect began to hold its own Tazia procession independently.
    It can be argued that both forms of Tazia processions performed in contemporary Delhi are not the products of simple imitation and repetition of tradition. The three dimensional structure of Tazia which is used in the processions is an original invention of Shia Muslims settled in India and can be found only in Indian subcontinent. Likewise, the pleasant and generally festival mood of the Sunnis in their Tazia procession is very much different from the originally solemn and sorrowful one of the Shias, and it too can be regarded as a creative adaptation of tradition. Thus, through the analysis of Tazia processions which are currently performed among the Muslims of Delhi, we can find constant adaptation of tradition according to changing historical environments and, in this sense, Tazia processions are good examples which show the malleability of tra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