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수 부양의무자 및 부양권자의 우선순위에 대한 고찰 - 독일의 경우와 비교하여 - (Der Reihenfolge bei mehreren Unterhaltspflichtigen und mehreren Unterhaltsberechtigte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5.05
36P 미리보기
다수 부양의무자 및 부양권자의 우선순위에 대한 고찰 - 독일의 경우와 비교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법학 / 23권 / 1호 / 67 ~ 102페이지
    · 저자명 : 조은희

    초록

    우리 민법은 부양의무의 우선순위 및 부양권자의 우선순위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단지 당사자의 협의로 이를 정하거나 협의할 수 없을 때 법원이 이를 정하도록 하고 있다. 현행 민법상 부양의 우선순위에 대한 이론은 2원형론으로 부양의무를 제1차적 부양은 미성년자녀와 배우자에 대한 부양, 그리고 제2차적 부양은 민법 제974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친족부양으로 분류되고 있다. 법원은 그동안 노부모부양을 1차적 부양으로 판단하는 등의 판결을 내린바가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2원형론을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2원형론적 분류는 복잡한 생활관계의 다양한 부양관계를 다각적으로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국가의 공적 부조의 역할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사적부양과 공적부양의 조화를 통한 새로운 부양의 우선순위 관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부양의무에 대한 논의와 판례의 경향을 검토하였으며, 더 나아가 다수의 부양의무자 및 부양권자가 있는 경우 이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안해 보았다. 독일의 경우 다수의 부양의무자 및 부양권자에 대한 우선순위관계를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부양의 우선순위를 정함에 있어 우리 민법의 현행 규정과 해석 그리고 독일의 현행법을 참고하여 우리에게 적용될 수 있는 부양의 우선순위를 검토해 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부양의 순위를 정하는 문제와 관련된 몇 가지 기타 사항 즉, 자기생계유지비와 부양비청구권에 대한 제한 등을 검토하였다.

    영어초록

    Wenn ein Bedürftiger gesetzliche Unterhaltsansprüche gegen mehrere Personen hat, so gibt es das Problem, in welcher Reihenfolge die Unterhaltsschuldner verpflichtet sind.
    Wenn man den in Unterhalt in Anspruch nehmen will, müssen zuerst einige Voraussetzungen erfuellt sein. Vor allem muss der Unterhaltsberechtigte ein Verwandter gemäss §974 KBGB sein. Und der Unterhaltspflichtiger muss auch wirtschaftlich fähig sein, den Unterhaltsberechtigen zu unterhalten(§975 KBGB) Im koreanische Recht wird keine konkrete Reihenfolge der Unterhaltspflichtigen und Unterhaltsberechtigten geregelt. Aber es ist festgehalten, dass sich die Betroffene über die Reihenfolge der Unterhaltsverpflichteten einigen können. Wenn sie keine Vereinbarung erreichen können, können sie das Gericht in Anspruch nehmen. Das Gericht kann dann unter Berücksichtigung der Verhältnisse der Beteiligten über die Reihenfolge des Unterhalts entscheiden (§756 KBGB).
    Der Reihenfolge der Unterhaltsspflicht wird behauptet 2 Kategory in der wissenschaftliche Theory. Es werden‘erstens Unterhaltspflicht’ und ‘zweitens Unterhaltspflicht’genannt. ‘erstens Unterhaltspflicht’ ist der Unterhaltpflicht zwischen Ehegatten und minderjähriges Kindesunterhalt vom Eltern.
    In der rechtswissenschaftlichen Theorie werden zwei Kategorien der Unterhaltspflicht unterschieden: die erste und die zweite Unterhaltspflicht. Die erste Unterhaltspflicht ist die Unterhaltspflicht zwischen Ehegatten und für minderjährige Kinder. Die zweite Unterhaltspflicht bezieht sich auf andere Verwandte (außer Ehegatten und minderjährige Kinder)“ Die erste Unterhaltspflicht ist der Unterhaltspflichter unterhaltet wie der selbst unterhaltet, aber zur zweitens Unterhaltspflicht ist der Unterhaltspflichtige unterhaltet, wenn er wirtschaftlich fähig ist, andere Unterhaltsberechtigte unterhalten zu können." Im koreanischem Zivilgesetzbuch wird zwischen der Ehegattenunterhaltspflicht im Sinne des § 826 KBGB und Verwandtenunterhaltspflicht im §974 KBGB unterschieden: Verwandte in gerader Linie und Ehegatten sind verpflichtet, einander Unterhalt zu gewähren (§974 KBGB 1). Zwischen den Verwandten besteht diese Pflicht, wenn sie zusammen leben (§974 KBGB 2). Es gibt keinen gesetzlichen Unterschied zwischen dem Unterhalt minderjähriger Kinder und dem anderer Verwandter.
    Deswegen wird behauptet, dass die gesetzliche Grundlage des Unterhalts für das minderjährige Kind der §913 KBGB ist. Aber eine andere Meinung ist, dass der §913 KBGB keine ausreichende Grundlage für die Unterscheidung zwischen dem Unterhalt von minderjährigen Kindern und anderen Verwandten darstellt. Deswegen wird er neu geregelt werden müssen.
    Ich habe in der vorliegenden Arbeit dargestellt, wie die koreanische rechtswissenschaftliche Theorie und wie die Gerichte in diesem Gebiet bisher entschieden haben. Darüber hinaus habe ich die Rangfolge der Unterhaltsverpflichteten und Unterhaltsberechtigten diskutiert. Dabei habe ich die Regelungen der deutschen gesetzlichen Regelungen berücksichtig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