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등록동반자관계는 혼인제도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Le partenariat enregistré peut-il être une alternative au mariage ?)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22.09
46P 미리보기
등록동반자관계는 혼인제도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앙법학 / 24권 / 3호 / 7 ~ 52페이지
    · 저자명 : 김상용, 안문희

    초록

    1980년대 후반 이후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여러 나라들은 전통적인 혼인제도 이외에 두 사람 사이의 법적인 결합을 인정하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혼인과 구별하여 보통 등록동반자관계라고 명명되었던 이 제도는 처음에는 주로 동성혼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동성 2인 사이에서만 허용되었고 이성간에 대해서는 개방되지 않았다(제1유형의 등록동반자관계). 이성간의 법적 결합으로는 이미 혼인이라는 제도가 있으므로, 이와 별도로 새로운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초기의 등록동반자관계는 동성혼의 대안이라는 성격이 강했기 때문에 각국의 입법자는 이에 대해서 혼인에 준하는 지위를 인정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 초기의 등록동반자관계는 동성간의 준혼이라는 성격을 띠게 되었다. 그 후 각국에서 본격적으로 동성혼이 입법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성격을 지닌 동성간의 등록동반자관계는 더 이상 존속할 근거를 잃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초기에 동성간의 등록동반자관계를 도입했던 나라들의 대부분은 동성혼의 입법과 더불어 더 이상 등록동반자관계의 성립을 허용하지 않게 되었다.
    한편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 프랑스와 벨기에, 네덜란드 등 유럽의 일부 국가들은 전통적인 혼인제도 이외에 두 사람간의 새로운 법적 결합을 모색하면서 동성간과 이성간의 결합을 아우르는 새로운 제도를 마련하였다(제2유형의 등록동반자관계). 이러한 새로운 제도는 동성간은 물론 이성간의 결합을 허용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면서도 구체적인 면에 있어서는 나라에 따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혼인과 유사한 효력을 인정한 ‘무거운 결합’을 선택한 입법례가 있는가 하면(네덜란드의 등록동반자제도), 혼인과 비교하여 성립과 효력, 해소에 있어서 ‘가벼운 결합’을 선택한 입법례도 있었다(프랑스의 PACS, 벨기에의 법정동거). 제2유형의 등록동반자관계는 처음부터 단지 동성혼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성격만을 갖는 것이 아니었으므로, 해당 국가에 동성혼이 도입된 후에도 그와 관계없이 독자성을 지니고 별개의 제도로서 존속할 수 있었다. 특히 이성간에 등록동반자관계가 성립하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최근에 프랑스의 PACS와 벨기에의 법정동거는 혼인수를 추월할 정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제2유형의 등록동반자관계가 전통적인 혼인제도에 대한 대안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는 현상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해당국가의 상당수 시민들이 혼인 이외에 ‘혼인보다 가벼운 제도’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부부간의 부양의무, 이혼 시의 재산분할(연금분할), 법원의 재판을 거쳐야만 하는 까다로운 이혼절차 등 혼인에 수반되는 부담을 꺼리는 젊은 세대가 혼인에 비하여 부담이 적은 새로운 제도를 선호하는 경향이 반영된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인간 사회가 오랜 기간 동안 이성간의 결합으로서 당연하게 여겨왔던 혼인제도가 도전을 받고 있다. 그 배경에는 부부간의 긴밀한 연대관계에 기초한 혼인제도에 대한 피로감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전 세대에서는 당연하게 받아들여졌던 혼인에 대한 가치가 새로운 세대에서는 부담으로 느껴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 혼인에 비하여 성립과 효력 및 해소에 있어서 가벼운 제도인 등록동반자관계가 도입, 확산된 배경에는 이러한 의식의 변화가 자리잡고 있다. 우리사회는 이러한 변화의 영향권 밖에 머물면서 혼인에 대한 기존의 가치관과 혼인제도를 미래에도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인가. 앞으로 우리사회에서 혼인제도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의식변화와 그에 대한 입법적 대응이 주목된다.

    영어초록

    D’une part, depuis la fin des années 1980, de nombreux pays européens, dont le Danemark, la Norvège et la Suède, ont commencé à introduire de nouveaux systèmes qui reconnaissaient l'union légale entre deux personnes en outre de mariage traditionnel. Ce système, le partenariat enregistré pour le distinguer du mariage, initialement caractérisé comme une alternative au mariage homosexuel, il n'était donc autorisé qu'entre deux personnes du même sexe (premier type de partenariat enregistré). Puisqu'il existait déjà un système de mariage en tant qu'union légale entre hétérosexuels, il semblait qu’il n'était pas nécessaire de créer un nouveau système en dehors de cela. Ainsi, par rapport de partenariat enregistré comme une alternative au mariage homosexuel, les législateurs de quelques pays ont tenté de reconnaître ce statut équivalent au mariage. En conséquence, au début, le partenariat enregistré se caractérisait d'un quasi-mariage homosexuel. Après que le mariage homosexuel a été adopté dans quelques pays européens, le partenariat enregistré entre personnes de même sexe n'avait plus de raison d’existence, de sorte que ces pays qui ont initialement introduit le partenariat enregistré, n'autorisent plus cette relation.
    D'autre part, à la fin des années 1990, certains pays européens comme la France, la Belgique et les Pays-Bas ont créé de nouvelles unions légales entre deux personnes soit homosexuels, soit hétérosexuels (deuxième type de partenariat enregistré). Bien que ces nouveaux systèmes aient pour but d’autoriser les unions hétérosexuelles et homosexuelles, il existe des différences considérables entre les pays sur des aspects spécifiques. Alors que le deuxième type de partenariat enregistré n'a pas adopté comme l’alternative au mariage homosexuel, il pouvait se maintenir en tant que nouveau système. En particulier, en France, récemment le nombre de couples a choisi plus ce système (PACS) que le mariage.
    Depuis longtemps, le mariage est tenu dans notre société en tant qu'union légale pour les hétérosexuels. Aujourd’hui, il semble que le mariage traditionnel est un élément fatigant et gênant pour la nouvelle génération. Notre société continuera-t-elle à maintenir l’institution du mariage à l'avenir en face de l'influence de ces changements ci-dess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