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도급계약법에서의 완성한 일의 ‘인수’ (Die Abnahme des Werks im deutschen Werkvertragsrech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8
44P 미리보기
독일 도급계약법에서의 완성한 일의 ‘인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법논집 / 45권 / 3호 / 153 ~ 196페이지
    · 저자명 : 박영복

    초록

    완성한 일의 「인수」(Abnahme)는 독일의 도급계약법에서 중요한 효과와 결부되어 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조문상 명시적으로 보이는 것으로 ① 보수 지급의 변제기 도래(독일 민법 제641조) 와 그에 따른 선이행의무의 종료, ② 위험의 이전(제644조 1항 1문, 제645조), ③ 하자담보청구권의 시효의 진행 개시(제634a조 2항), ④ 하자에 대한 증명책임의 이전(제363조)을 들 수 있다. 한편, 독일 민법상의 도급계약법에서는 도급인은 하자에 대한 책임에 근거한 권리를 언제부터 행사할 수 있는지 에 대해 명문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학설의 지배적인 견해는, 채무법현대화법 이전의 구법 하의 통설과 마찬가지로, 인수를 하자책임규정의 적용기준으로 한다. 도급의 하자책임규정의 적용 시점을 둘러싸고 그동안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던 독일연방 통상법원(BGH)도 이제는 도급인은 하자에 근거 한 권리를 원칙적으로 일의 「인수」 후에야 비로소 주장할 수 있으며, 일에 하자가 있는지는 원칙적으 로 인수 시점에서 판단된다고 한다. 나아가 BGH는 - 학설에 있어서의 다수설과 마찬가지로 - 이행과 추완의 차이점을 지적하면서 이행청구권과 하자에 근거한 추완청구권은 다르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우리 민법상 수급인의 하자담보책임을 일반적인 채무불이행(불완전이행) 책임 및 매도인의 하자담 보책임과의 관계에 대해서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법정책임설을 취하는 입장에서는 하자와 미완성을 구별한다. 일이 일응 완성 단계에 이르렀어야 보수의 대상이 되는 하자가 되고, 거기에 미치 지 못했다면 이는 「일의 완성」의 대상이 되는 미완성이다. 그리고 이 「일의 완성」은 도급 이행의 완 료로서의 일 완성(하자 없는 일의 완성)과는 구별되는 「일응의 완성」이며, 재판례의 대부분은 이 시점 을 「예정된 마지막 공정을 마친 것(예정 공정의 종료)」이라고 한다. 우리 민법상 하자담보책임을 추급 하려면 먼저 ‘일이 완성’하고 그 일에 하자가 있어야 하는 것이 요건이 된다. 일단 일이 완성되면 그것 이 불완전한 것이더라도 수급인은 하자담보책임만을 지고 채무불이행책임은 지지 않는다고 해석하게 될 것이다. 이 점에서 도급계약에 있어서의 하자담보책임이 적용되는 시기는 「일의 완성」 시가 된다고 할 것이다.
    앞의 독일에서의 논의 상황에 시사 받은 바를 통해, 우리 민법은 도급인의 보수채무(의 지급 시기) 를 완성된 일의 인도에 결부시키고 있으므로 – 독일법 상황하에서의 지배적 견해 및 BGH와 마찬가지 로 - 하자담보책임의 기준시를 인도(수령) 시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 사고에 의하면, 양 자 모두(미완성이든 하자 있는 경우이든) 일을 완성할 의무의 불완전이행(내지 일부 불이행)으로 구별 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의 인도를 – 기존 우리의 판례와 마찬가지로 - 점유의 이전 외에 도급인의 수 인(검수⋅시인)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 「일의 완성을 승인하고의 인수」 또는 이행으로서의 「수령」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목적물의 인도를 받은 때(인도의 수령시)를 기준시점으로 하여 인도 후에 는 하자담보책임, 인도 전에는 채무불이행책임의 일반원칙에 의하게 된다.

    영어초록

    Der Abnahme des vom Unternehmer hergestellten und abgelieferten Werkes kommt nach dem deuteschen Werkvertragsrecht erhebliche Bedeutung zu, da das Gesetz an dieses Rechtsinstitut wegen der damit verbundenen Billigung des Werkes mannigfache Rechtswirkungen knüpft. Die Abnahme wurde Dreh- und Angelpunkt in der Abwicklung des Werkvertrages bezeichnet. Der Grund für die besondere Bedeutung der Abnahme liegt darin, dass sie den Übergang zwischen Erfüllungs- und Nacherfüllungsphase zum abgeschlossenen Werkvertrag markiert.
    Mit der in § 640 Abs. 1 BGB vorgesehenen Billigung der vertragsgemäßen Erfüllung finden die mit dem Werkvertrag begründeten vertraglichen Verpflichtungen ihre Erfüllung, so dass sich der abgeschlossene Vertrag mit Ausnahme verbleibender (Rest-)Pflichten aus der Nacherfüllungsphase erledigt. Spätestens durch die Abnahme wird das Stadium der Vertragserfüllung beendet und die Leistungsverpflichtung des Unternehmers auf das abgenommene Werk konzentriert. Mit der Abnahme ist zugleich ein Ausschluss der Mängelrechte aus § 634 Nr. 1–3 BGB verbunden, wenn der Besteller sich diese Rechte nicht gemäß § 640 Abs. 2 bei der Abnahme vorbehält. Mit der Abnahme werden auch die Verjährungsfristen für die in § 634a BGB bezeichneten Mängelrechte in Gang gesetzt. Die Beweislast kehrt sich zu Gunsten des Unternehmers um.
    Der Beitrag befasst sich mit der Bedeutung der Abnahme des Werks im Werkvertragsrecht. Da unser Zivilrecht die Vergütungspflicht(Zeitpunkt der Zahlung) des Besteller an die Ablieferung des fertiggestellten Werkes knüpft, - wie nach herrschender Auffassung und dem BGH im Kontext des deutschen Bürgerlichen Rechts -, es sei angemessen, den Zeitpunkt für den Eintritt der Gewährleistungshaftung auf den Zeitpunkt der Lieferung(Eingang) an den Besteller zu setzen. Unter Lieferung ist hier – wie in der bisherigen Rechtsprechung – unter Einbeziehung der Billigung(Prüfung und Abnahme) des Bestellers neben der Besitzübergabe des Werks verstanden. Nach Ablieferung des fertiggestellten Werkes gelten die Bestimmungenzur Gewährleistungshaftung und vor Ablieferung des Werkes das allgemeine Leistungssörungsrecht. Ist der Gegenstand des ausgeführten Werkes geliefert, besteht die Pflicht des Unternehmers zur Fertigstellung des Werkes nur eingeschränkt im Rahmen der Mängelgewährleistung fo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법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