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각퍼지수를 활용한 학교숲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Forest Using Triangular Fuzzy Number)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9.08
10P 미리보기
삼각퍼지수를 활용한 학교숲 만족도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경학회지 / 37권 / 3호 / 1 ~ 10페이지
    · 저자명 : 이슬기, 장정선, 정성관, 유주한

    초록

    학교숲은 도시숲의 유형중 하나이다. 도시학교는 적당한 거리에 적당한 면적을 유지하고 있어 학교숲의 조성은 도시에 많은 숲이 조성되는 효과를 준다. 또한, 학교는 학생들이 오랜 시간 머무르는 장소로 학생들의 환경교육의 장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조성된 학교숲은 학생들의 요구나 참여가 배제된 채 결과 중심의 사업이 되고 있어 학생들의 환경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기존연구의 경우,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주관적 판단인 정성적 자료를 정량화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인간의 주관적 판단은 모호한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정량화하는데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숲에 대한 객관적인 만족도 평가를 위해 퍼지이론을 활용하여, 학교숲 만족도에 미치는 항목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특색’과 ‘정서 함양’ 항목의 산술평균값의 순위와 퍼지이론을 도입한 무게중심값의 순위가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퍼지이론이 인간의 사고와 같은 정성적 자료를 합리적으로 객관화 할 수 있다는 증거가 된다. 또한 학교숲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교 특색’ 항목의 회귀계수값이 0.15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수량 많음(0.142)’, ‘자연 소중(0.136)’, ‘정서 함양(0.120)’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설문의 객관적 분석방법과 학교숲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영어초록

    Wooded areas that are a part of school campuses are one type of urban forest. Most schools located in an urban environment make an excellent setting for a forest in terms of location and area. These kinds of wooded spaces also make the city greener and healthier. As a place where students spend a great deal of time, schools can also be a venu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creation of wooded areas in schools currently has focused on the end result only; by ignoring student needs and participation, these areas have no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 environmental education. Previous studies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quantified subjective qualitative data via Likert Scale. There has been, however, a problem in quantifying the more ambiguous subjective data.
    Therefore, this paper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os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wooded areas of their school campus using Fuzzy Theor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buk-do. A change was observed in terms of the ranking of arithmetic mean values of ‘school peculiarity’ and ‘emotion evolution’ and center of gravity, which has adopted Fuzzy Theory, proving that Fuzzy Theory could rationally objectify qualitative data such as human thoughts. In term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forests(regression coefficient), ‘school uniqueness(0.159)’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any trees(0.142),’ ‘importance of nature(0.136)’ and ‘emotion evolution (0.130).’ This paper may therefore be useful as basic data for objective questionnaire surveys and the development of school fore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