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왜 마이클 오크숏은 바벨탑에서 내려와 동굴로 향했는가?: 플라톤 정치철학 해석에 비춰 본 오크숏의 합리주의 비판 (Why did Michael Oakeshott come down from Tower of Babel to Cave? :Michael Oakeshott's critique against Rationalism in light of his interpretation of Plato's political philosoph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09
24P 미리보기
왜 마이클 오크숏은 바벨탑에서 내려와 동굴로 향했는가?: 플라톤 정치철학 해석에 비춰 본 오크숏의 합리주의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30권 / 3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김지훈

    초록

    이 논문은 20세기 정치철학자인 마이클 오크숏이 내세웠던 문제의식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그가 내세웠던 해결 방안은 무엇이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오크숏은 다른 삶의 지향점을 품고 있는 개인들이 어떻게 한 공동체 내에서 함께 지낼 수 있을까를 고민했었다. ‘바벨탑 이야기’에서 오크숏은 통제 불가능한 변수가 상존하는 정치 영역의 특수성을 간과하는 합리주의적 태도가 근거 없는 믿음 혹은 환상에 불과하다는 교훈을 전하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오크숏은 사회와 정치 문제를 소홀히 여기지 않고 개인과 도시 전체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제시하는 정치철학자의 역할을 부각한다. 여기서 오크숏이 문제시했던 부분은 이러한 정치철학자가 도시 내에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과연 도시 내 사람들이 그의 조언을 따를지였다. 정치철학자가 놓일 이러한 처지는 플라톤이 대화편 『국가』에서 철학자가 동굴 속 사람들에게 당하는 수모 혹은 위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오크숏은 플라톤과 동일한 문제의식을 공유했지만 그 해결 방안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오크숏은 정치와 철학, 혹은 사회와 철학 간에 긴장 관계가 형성된다면, 이를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공동체 내 다른 사람들이 아니라 바로 이론가, 즉 철학자의 태도가 변해야함을 주장했다. 이러한 관점을 지녔던 오크숏이 지향했던 정치공동체는 바로 모든 개인이 각자의 가치와 목소리(voice)를 지니고 살아가는, 즉 개인주의를 하나의 원칙으로 받아들이는 시민적 결사체였다. 그리고 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오크숏은 대화(conversation)와 시적 표현(poetic expression)에서 찾았다. 철학자 뿐만이 아닌 모든 개인이 대상을 새롭게 관찰하고 표현하는 시적 활동과 이를 나누는 대화라는 활동을 통해서 추구하고자 하는 이상향으로 다가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철학자가 대화 속에서 자신의 목소리가 전달되기 위해서는 (플라톤 보다 더) 그 자신의 역량이 좀 더 중요했음을 오크숏이 내세웠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s to deal with two interrelated issues: what is the problem Michael Oakeshott, one of the 20th century political philosophers, brought into question; regarding this problem, what he proposed after years of consideration. Basically Oakeshott was wondering how individuals with different life-orientations could live together in a single community. In his article, titled “The Story of Babel”, Oakeshott delivers an insightful message that a rationalistic attitude which overlooks the uncontrollable variables in the political realm is nothing but an unfounded belief or a mere fantasy. At the same time, however, Oakeshott notes the role of a political philosopher who does not overlook social and political issues happened in a community and directs both the individual and the city as a whole. What deters Oakeshott at this point is that even if these political philosophers existed in the city, others in the city would willingly follow his advice. This situation political philosophers would face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one depicted in Plato’s dialogue, “The Republic”, where the philosopher is threatened from cave-dwellers. This paper argues that although both Oakeshott and Plato shared a common issue,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proposing the solution. Oakeshott argued that if a tension between politics and philosophy, or between society and philosophy, intensified, theorists or philosophers, rather than others in the community, should change their attitudes in order to soften it. The political community that Oakeshott tried to reform was a civil association that all individuals live with their own values and ‘voices’, which speaks their own principle of living. Oakeshott built his hope on the power of conversation and poetic expression; not only philosophers but other individuals can attain the ideal situation through poetic activities. Emphasizing this independent attitude toward life, Oakeshott, more than Plato, demands a higher guideline for philosop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