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밀속 식물의 발견사 및 생물학적 특성 (History of the Discovery of Genus Fagopyrum and Their Biological Characteristic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1.08
33P 미리보기
메밀속 식물의 발견사 및 생물학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수록지 정보 : 제주도연구 / 56권 / 189 ~ 221페이지
    · 저자명 : 김찬수, 서연옥

    초록

    두메메밀이 『Species Plantarum』에 기록된 1753년 이래 메밀속 식물은 지금까지 268년간 30종이 기록되었다. 9년에 1종정도 발견된 셈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발견된 메밀속 식물 발견의 역사와 생물학적 특성을 정리하여 이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메밀의 발견사는 다음과 같이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1900년대 이전 시기다. 18세기 중반 첫 기록 이후 20세기가 열리기 전까지 135년 동안 단 3종만이 기록되었다. 이 메밀들은 식량이나 약용으로 장기간 이용돼왔다는 점에서 본연구에서 진정 메밀로 부르고자 한다. 둘째, 20세기 개시 직전인 1888년부터 2차 세계대전이 종전된 1945년까지다. 이 시기는 탐사의 시대라 할 수 있다. 이 기간 7종의 메밀속 식물이 발견되었으며, 이 종들은 탐사 메밀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셋째, 1981년 Fagopyrum tibeticum이 발견된 후로 현재까지다. 불과 40년이 흘렀을 뿐인데 20종이나 되는 메밀속 식물을 발견한 것이다. 이 시기 새로운 종의 발견은 미래를 위한 유전자원 확보 차원 성격이 강하다. 이 시기 발견한 메밀은 미래자원 메밀로 칭하 려고 한다. 지금까지 발견된 30종 중 F. cymosum, F. statice, F. urophyllum 등 3종은 다년생, 나머지는 모두 1년생 식물이었다. F. cymosum, F. esculentum, F.homotropicum, F. tataricum 등 4종은 큰키메밀그룹에 속하고 나머지는 나무메밀그룹에 속했다. 큰키메밀 그룹은 꽃덮이로 수과를 부분적으로 덮고 가로로 긴 자엽을 갖는 특성, 나무메밀은 꽃덮이로 완전히 덮인 수과와 세로로 긴 자엽을 갖는 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F. cymosum, F. esculentum, F. tataricum 등 3종은 큰 수과그룹이었다.
    큰 수과 그룹은 꽃이 진 후에도 계속 남아 있는 꽃덮이보다 종자가 훨씬 더 길고, 작은 수과 종에서보다 종자가 더 크다.

    영어초록

    Since 1753, when Fagopyrum tataricum was recorded in 『Species Plantarum』, 30 species have been recorded for 268 years in Fagopyrum. This means that one species is discovered every nine years. In this study, the history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plants discovered so far are summarized and provid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The history of the discovery of buckwhea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periods as follows. First, it is the period before 1900. From the first record in the mid-18th century until the opening of the 20th century, only three species were recorded in 135 years. Since these buckwheats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for food and medicinal purposes, we would like to call them true buckwheat here. Second, from 1888, just befor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 1945, when World War II ended.
    This period can be called the age of exploration. Seven species of buckwheat were discovered during this period, and these species will be referred to as exploration buckwheat. Third, since the discovery of Fagopyrum tibeticum in 1981, it is still present.
    Only 40 years have passed, but 20 species of buckwheats have been discovered. The discovery of new species at this time has the character of securing genetic resources for the future. Buckwheat discovered during this period is intended to be called future resource buckwheat. Among the 30 species discovered so far, 3 species including F.cymosum, F. statice, and F. urophyllum were perennials, and the rest were annual plants.
    Four species, F. cymosum, F. esculentum, F. homotropicum, and F. tataricum, belonged to the cymosum group, and the rest belonged to the urophyllum group. Cymosum group has the characteristics of partially covering the aceae with perianths and having transversely long cotyledons, while the urophyllum group has the characteristics of having the achene completely covered with perianths and having longitudinally long cotyledons. Also, the three species, F. cymosum, F. esculentum, and F. tataricum, were species of a big achene group. A big achene group have much longer seeds than perianths that remain after flowering, and have larger seeds than small achene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주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