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골비사』에서의 “也孫 也速惕” 해석 (Interpretating “也孫 也速惕” (yisün yisüt) in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 A Numerical and Cultural Analysi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5.04
21P 미리보기
『몽골비사』에서의 “也孫 也速惕”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만주학회
    · 수록지 정보 : 만주연구 / 39호 / 11 ~ 31페이지
    · 저자명 : 안현재

    초록

    본 논문은 『몽골비사』 제267절에 나온 “也孫 也速惕”(yisün yisüt)라는 수를 어떻게 해석해야 좋을지 제안하고, 그 근거를 제시한 것이다. 이 수는 서하가 칭기스칸에게 멸망 당했을 때 그 군주 일로코 보르칸이 바쳤던 공물의 수다. 『몽골비사』의 각종 역주본에서, 이 수는 “아홉 개씩” 혹은 “九九”로 번역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역주본은 그렇게 번역한 이유를 제시하지 않았다. 那珂通世는 거란, 몽골인이 선물을 아홉 개로 주고받았다는 기록을 근거로, “也孫 也速惕”가 “아홉 개씩”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그렇지만 어법 측면에서 보면 “아홉 개씩”은 ‘yisüt’가 아닌 ‘yisüged’여야 한다. 배분 수사는 기본 수사에 ~γad/ged를 붙인 것이기 때문이다. 본문은 ‘9×9=81’로 해석하는 편이 더 합당하다고 보았다. 몽골 문화에서 숫자 9는 “많다”는 의미가 있고, 9를 9번 거듭하여 수량, 시공간의 최대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 용례는 샤머니즘 의례, 사료, 법전 등 다양한 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용례들을 소개함으로써, “也孫 也速惕”가 ‘9×9=81’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sits the meaning of “也孫 也速惕” (yisün yisüt) in Section 267 of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offering a new interpretation along with supporting evidence. The term refers to the number of tribute items offered by Iluqu Burqan, ruler of Western Xia, to Činggis Qan (Genghis Khan) following the fall of his kingdom. Although most annotated editions translate yisün yisüt as “nine each” or “九九” (nine-nine), they rarely explain the reasoning behind this choice. One influential interpretation, proposed by Naka Michiyo (那珂通世), suggests that the term refers to gifts exchanged in sets of nine, or “nine each,” drawing on historical records of Khitan and Mongol practices. However, a closer look at the grammar challenges this view: in Mongolic languages, distributive numerals like “nine each” would require the form yisüged, not yisüt, since the suffix ~γad/ged must be attached to cardinal or base numbers. This grammatical point, together with cultural evidence, points toward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In Mongol tradition, the number nine carries a meaning of abundance and maximal extension, a symbolism that becomes even stronger when nine is multiplied by itself. Shamanistic rituals, historical records, and even legal codes all show examples of this symbolic use of repeated nines. Building on these examples, this study supports the interpretation of yisün yisüt as denoting “9x9,” which would best be understood as representing “81.”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