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고등학교 소비자교육 활성화 방안 고찰 (A Study on the Promotion of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1.09
35P 미리보기
중·고등학교 소비자교육 활성화 방안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 17권 / 3호 / 27 ~ 61페이지
    · 저자명 : 구혜경

    초록

    공정거래위원회는 우리나라 소비자교육 정책을 기획하고 추진하는 주관부처이다. 제5차 소비자정책기본계획에는 디지털 시대 학교 소비자교육 강화 방안을 중점 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의 소비자교육 현황과 한계점을 파악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학교 소비자교육은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교과교육 이외에 창의적 체험활동과 범교과 학습 주제를 학교 교육의 주요 축으로 삼는다. 교과과정의 경우 소비자교육이 현재 기술․가정, 가정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이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 각각의 관점에서 소비자교육의 접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에서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과내용의 문제, 교사역량의 문제, 학교 교육 현장에 소비자교육 주제 편입의 진입장벽 문제 등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은 장기와 단기로 구분된다. 장기적 접근은 교육과정 개정 시, 소비자교육 내용을 보완하는 것으로 소비자교육 내용 체계 및 표준안 마련 등의 기반 연구가 요구된다. 그리고 개정 교육과정에의 반영을 위하여 공정거래위원회는 교육부 및 교육과정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개정 반영을 위한 근거 연구들을 축적하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단기적으로 현재 학교 교육체계에 소비자교육 접목을 강화하는 것으로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용도별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안과 교사용 지도서를 교사 커뮤니티 등 교사 접근성이 높은 곳에 제공해야 한다. 더 나아가 새로운 주제의 접목을 위해 학교장, 보직교사 대상 소비자교육의 필요성 및 새로운 소비자 이슈를 포함하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가정과 정교사 연수 강화 및 일선 교사의 일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디지털 시대 학교소비자 교육의 강화를 위해 교과 이외에 창의적 체험활동, 범교과 주제 학습 분야의 접목을 고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체계적인 학교 소비자교육 정책이 수립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Fair Trade Commission is a ministry that plans and promotes Korea's consumer education policies. Strengthening school consumer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is a central task of the 5th Framework Plan for Consumer Policy.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sought ways to overcome them. School consumer education i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 centered educatio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comprehensive curriculum learning are the central pillars of school education. Consumer education is currently operated mainly on technology and home textbook curriculum. The possibility of incorporating consumer education from each perspective of autonomous activiti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and career activities was identified. Consideration was given to how consumer education can be achieved in comprehensive curriculum learning education. Through this process, problems with the contents of textbooks, teacher competencies, and barriers to entry into consumer education topics were identified. Strategies to overcome limitations are divided into long and short periods. The long-term approach is to supplement consumer education when revising the curriculum. Therefore, an underlying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prepare the consumer education content system and standards. In order to reflect consumer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Fair Trade Commission should establish a network for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takeholders. In the short term, in order to apply consumer education to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system, content and programs by educational use should be developed and teacher accessibility should be enhanced.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consumer education for school principals and strengthen training for families and excellent teachers. In addition, consumer issues should be included in teachers' general training programs. It is hoped that a systematic school consumer education policy can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