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소비자의 재무관리역량 (The Financial Competency of Korean Consume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2.03
26P 미리보기
우리나라 소비자의 재무관리역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3권 / 1호 / 229 ~ 254페이지
    · 저자명 : 김정현, 최현자

    초록

    본 연구는 복잡해진 금융환경 하에서 금융소비자가 자생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소비자 재무관리역량에 주목하여,체계적인 척도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재무관리역량 실태를 조사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개발된 소비자 재무관리역량 측정 척도를 이용하여 대규모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재무관리역량의 구성요인별 점수와 역량총점의 개략적 모습을 살펴보고, 개인의 특성, 재무적 특성, 주관적 만족도에 따른 재무관리역량 점수를 분석하였다. 전국 20세 이상의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45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재무관리역량 실태를 분석한 결과, 재무관리역량 총점은 100점 만점에 평균 63.14점을 나타내어 저조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성요인별로는 지식역량 점수가 가장 높고 기능역량 점수가 가장 낮아 실천적 역량의 부족이 입증되었고, 하위영역별로는 수입과 지출을 관리하는 영역의 역량 점수가 가장 높았고 노후설계 및 위험관리에 관련된 역량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둘째, 개인적 특성과 재무관리역량 수준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성인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직업이 있는 사람인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구성요인별 역량 점수 및 역량총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거주지역에 따라서는 태도나 지식 등 인지적 측면의 역량은 서울 외 수도권과 중소도시/읍면부 거주자가 더 우수한 점수를 나타낸 반면, 기능역량은 서울시와 광역시 거주자들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서로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셋째, 재무적 특성과 재무관리역량 수준 간 관계를 고찰한 결과, 생활비 수준이 높을수록, 저축투자를 많이 할수록, 저축성향이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에 태도, 지식, 기능역량이 모두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금융자산 및 부동산이 많을수록, 소득 및 생활비 대비 금융자산이 기준을 충족시키는 경우, 금융자산 대비 총부채액수가 기준을 충족시키는 경우, 그리고 투자성향지표와 유동성지표를 만족시키는 경우에 기능역량이 우수하였다.
    넷째,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생활수준 및 재정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중~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만족도 점수에 따라 재무관리역량 수준에도 차이가 있어서 객관적․주관적 재무적 특성이 더 나은 사람들이 재무관리역량 수준도 더 우수하였다.
    다섯째, 재무적 특성과 주관적 만족도에 따른 재무관리역량을 살펴본 결과들로부터, 소비자의 재무적 복지에 가장긴밀한 연관이 있는 구성요인은 기능역량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실천적 역량에 초점을 둔 금융교육 및 정책의 고안, 재무관리에 있어서 부족한 역량을보충하기 위한 전문가 자문 강조, 기능역량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보원 및 인프라에의 접근성 확보, 재무적 복지향상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재무관리역량 증진 필요성, 체계적으로 재무관리의 실천을 생활 속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정책의 고안 등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financial competency of Korean consumers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financi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various characteristics.
    To measure financial competenc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previous study was us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1,045 subjects, who were managing their own financial lives and aged 20 and over, were select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First, the financial competency of Korean consumers was not satisfactory. They scored 63.14of 100 points on average. To be detailed, the highest score came from the knowledge component and the lowest point was obtained in the skill component, which indicates that they do not tend to make the use of their knowledge. As for the sub-categories, they showed the highest quality in managing their income and spending, while recording the lowest point in retirement planning and risk management.
    Second,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financial competency found that consumers who were older-aged, male, with higher education, having job obtained higher scores in each component and total scores. By the location of residence,the scores for cognitive components such as the attitude and knowledge were shown higher among people living in small and mid-size city areas, while the point for the financial skills was recorded higher among people from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cities.
    Third, the study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consumer financial competency showed that the scores for the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were higher when living enpenses are higher, the amount of savings and investment is more, and the standard of propensity to save is met. Particularly, the financial skill was higher when the people own more financial assets and real estate, their financial assets meet certain requirements compared knowledgincome and living enpenses, their total debt amount knowledgfinancial assets meet certain requirement, and theedginvestment tendr the nd liquidity indices meet certain levels.
    Fourth, the satisfaction of Korean consumers with their living standards and financial circumstances were found to range from moderate to low. The satisfaction scores were also related to their financial competency and people with advanced financial characteristics showed higher competency to managing their financial affairs.
    Fifth, as for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it was the skill component that was the most closely related to consumer financial welfare. As developing the functional skill will be the most effective way to help improve the welfare, focusing on making people act on real life will help when educating consumers on financial management.
    Thes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offer guidance for policy-making and consumer education in order to protect consumers and enhance their financial welfare, and provide the foundation to produce sound, responsible and competent consumers in financial mark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