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깨비 이야기에 대한 만 2세 영아들의 내러티브 탐색: 우리나라 옛이야기를 중심으로 (Exploration of Narratives of Children in a Two-year-old Class on Dokkaebi Tales: A Focus on Traditional Korean Folktale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7.02
25P 미리보기
도깨비 이야기에 대한 만 2세 영아들의 내러티브 탐색: 우리나라 옛이야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학논집 / 21권 / 1호 / 433 ~ 457페이지
    · 저자명 : 임홍남, 김은주

    초록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들에게 도깨비 관련 우리나라 옛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영아들의 내러티브가 어떠한 양상으로 구현되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만 2세 영아 14명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6년 7월 18일부터 9월 9일까지이다. 도깨비 이야기를 들은 영아들의 모든 말과 행동을 관찰 및 수집해봄으로써 도깨비 이야기에 대한 반응과 놀이에 대한 내러티브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 영아들은 도깨비를 두려워하는 반면, 그에 대한 이야기를 유희하고 있었으며, 정형화 되지 않은 도깨비의 모습으로 때에 따라 다르게 이미지화 하여 표현하며 도깨비와 동일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도깨비 옛이야기를 즐기고, 새로이 생성하며 일상생활과 놀이 전반에 걸쳐 도깨비 이야기를 향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도깨비 관련 우리나라 옛이야기는 영아들이 펼치는 상상의 길을 열어주고 지지해줌으로써 영아들이 풍부한 감성으로 세상과 마주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영아들의 내러티브를 살펴봄으로써 과소평가되었던 영아들의 목소리를 제고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ren in a two-year-old class and present their narratives after being taught traditional Korean folktales related to Dokkaebi who is a Korean traditional gobli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 two-year-old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8-September 9, 2016. Data sources included children’s responses to Dokkaebi tales and their narratives for play, while data analysis collected and examined all words and deeds of children who were told about Dokkaebi related folktales.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identified Dokkaebi as the one who differentiates right from wrong and who punishes bad deeds. They also equated the imaginary image of Dokkaebi expressed in their mind to Dokkaebi by picturing it not in a standardized manner. And they were shown to express a scene in a Dokkaebi related folktale in the form of dramatic play while making up a tale. Some children believed that Dokkaebis are hidden everywhere in our life and in every object as well. This indicates that our traditional folktale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elp children internalize the value of life and ethical standards for themselves by revealing instructive values with metaphor and humor, and that they open up the path of imagination for children and support it. Further, results suggest that listening to the voices of young children by examining their narratives, which tended to be underestimated, was valu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