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공동체의 친밀성과 공공성 (Intimacy and Publicness in Urban Communi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3.08
30P 미리보기
도시공동체의 친밀성과 공공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 / 49호 / 311 ~ 340페이지
    · 저자명 : 정성훈

    초록

    최근 한국에서는 서울시의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 정부의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등 도시공동체의 공공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보이는 지원 사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공공성을 더 이상 관공성으로 간주하지 않는 인식 전환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이러한 인식 전환에 기여한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도시공동체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공성과 함께 친밀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주장한다. 고대의 폴리스/오이코스 구별을 상기시킴으로써 공/사 구별의 지형 변화에 영향을 미친 아렌트의 성과를 이어받으면서도 하버마스는 근대의 친밀 영역으로부터 새로운 공공 영역이 떠올랐다는 점에 주목했다. 하지만 19세기 말 이후 부르주아 공론장의 위축 과정을 진단하면서 하버마스는 친밀 영역의 재편 가능성과 문예적 공론장의 기능적 등가물에 대한 모색을 하지 않는다. 필자는 친밀 관계들에 기초한 도시공동체가 초보적 공론장들의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도시공동체에 대한 관의 지원 정책이 유의해야 할 지점들 몇 가지를 밝히며 글을 마무리하였다.

    영어초록

    A recent trend of urban policies in Korea is promoting urban (small) communities. By example, launching "Community-Building Program"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Mar. 2012) and enforcing "Basic Law of Cooperatives"(Dec. 2012). This trend could be regarded as recognizing the publicness of urban communities. It results from the conceptual change of the public(公共), which is not equated with the official(官公). The philosophical theory of the public would be a factor of bringing about this change. In regard to the concept of the public, Hannah Arendt and Jürgen Habermas are two of the most influential theorists in Korea.
    In respect of understanding publicness of 'modern' society, Habermas' theory of public sphere(Öffentlichkeit) is more appropriate than Arendt's. He shows that modern bourgeois public sphere has been risen from intimate sphere. Nevertheless, his pessimist perspective of post-bourgeois(since late 19th century) public sphere in <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and his rationalistic conception of life-world(Lebenswelt) in <Theorie des kommunikative Handelns> have two weak points.
    In his theory,(a) the functional equivalent of literal public sphere in post-bourgeois epoch is absent.
    In 18th century, literal public sphere was the bridge between intimate sphere and political public sphere. The functional equivalent suggested by Habermas in 1990s is civil society, but it is far from intimate relations.
    (b) The alternative vision of intimate sphere after romantic love is absent.
    Habermas identifies intimate sphere with families, and devaluates the meaning of neighborhood relations. Therefore, he can not see the possibility of the alternative intimate communities.
    I see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intimate sphere in Korean new urban communities, by example, "Sungmisan community"(Mapo-Gu, Seoul), "Jaeminan community"(Gangbuk-Gu, Seoul). The seeds of these communities are "communal childcare cooperatives"(共同育兒 協同組合) established in mid-1990s. The need of childcare assembled the members of these cooperatives, and the growth of the intimacy within the members developed the more kinds of cooperatives. The expanded communities gradually have participated in public affairs, and in this participation women have been grown to the autonomous persons.
    I think that urban communities based on intimate relations are some of the functional equivalents of literal public sphere in 18th century. Most of urban communities can not start with the public concerns. Closed intimate communities gradually would be open and seek public value. Therefore, urban policies have to consider two values of urban communities simultaneously. One is intimacy, and another is publicness. One-sided emphasis on publicness might destroy the potential of intimate communities.
    A recent trend of urban policies in Korea has a risk of weakening intimacy. One example is social cooperatives. "Social Cooperatives" by the basic law of cooperatives is distinguished from (general) cooperatives. From establish step, social cooperatives are forced to do public service. Another example is directly-funding for urban communities. The dependence on funding by government might have destructive effects on intimate re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