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울의 구원에 관한 샌더스의 관점과 존 웨슬리의 신인협동설 (E.P. Sanders' Perspective on Pauline Soteriology and John Wesley’s Synergism)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9.12
24P 미리보기
바울의 구원에 관한 샌더스의 관점과 존 웨슬리의 신인협동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연구 / 18권 / 4호 / 608 ~ 631페이지
    · 저자명 : 문병구

    초록

    샌더스의 걸작 ‘바울과 팔래스타인 유대교’ 가 출판된 이래로 바울 신학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시작되었다. 샌더스는 이 저서에서 바울 신학을 해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종교개혁자에 의하여 의인론으로 구분되는 바울의 구원론은 바울이 당시의 유대교의 율법 과 율법의 행위에 대하여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유대교를 행 위 종교로 이해했는 사실을 전제한다. 그래서 바울은 인간이 ‘율법의 행위’ 가 아니라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됨’ 을 역설하면서 당시의 유대교의 행위종교에 정면으로 맞섰다는 것이다. 그러나 샌더스는 당시 유대교가 그런 종교가 아니었음을 밝히고 또한 바울이 유대교 의 율법과 율법의 행위를 그렇게 이해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밝히기 위해 당시의 광범위한 유대문헌들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그는 바울 의 본문들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오해가 있음을 밝히려 하였다. 하지 만 샌더스가 조사한 유대교의 문헌에서도 행위심판이 드러나고 있음 에도 그는 유대교가 행위종교가 아니라는 사실을 강변하였다. 뿐만 아니라 신약성경에 나타나는 예수의 유대교에 대한 비판적 언급에 대해서도 충분한 해명을 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샌더스의 바울의 구원관에 대한 해석이 존 웨슬리의 신인협동설에서 주장되는 구원의 과정에 대한 이해와 어떻게 다른 지를 비교하였고 웨슬리의 구원관의 특징을 이러한 관점과 비교하여 조명하였다. 웨슬리의 구 원관에서는 하나님께서 선행은총으로 말미암아 타락한 인간에게 하 나님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회복시켜 주셨음이 중요하다. 이러한 웨 슬리의 관점은 종교개혁자들의 바울이해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웨슬리가 말하는 선행은총의 전제 아래서 성령께서 역사하시는 은혜로 말미암아 인간이 인격적 성결을 이룰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는 면에서 샌더스가 주장하는 바울의 구원에 대한 이 해와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One of the topics still discussed in the field of Pauline studies today is how Paul understood Judaism during his mission. Christian theologians who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reformers, such as Luther and Calvin, thought Paul had bitterly criticized Judaism. In the 1970s, however, scholars appeared to question the reformers’ perspective on Paul, and this was triggered by E. P. Sanders's pioneering book entitled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A Comparison of Pattern of Religion published in 1977. Sanders attempted to capture Paul's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of Judaism, based on extensive research into Jewish literature in the first century, arguing that the Reformers tended to distort the historical Paul and his understanding of Judaism. On November 4, 1982, James D.G. Dunn joined Sanders’ reconsideration of Paul by presenting the paper entitled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t the Manson Memorial Course at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In this series of discussions, N. T. Wright participated and led a new interpretation of Paul through prolific publication. This trend of Pauline studies is collectively called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nd this means that the trend while defining the reformers’ understanding of Paul as “old perspective.” The scholars who claim this new perspective are called the new perspective scholars in the field of New Testament studies. Since the new perspective on Paul is based on an innovative understanding of first century Judaism, it affects not only the reading of the Pauline writings but also of the other texts in the New Testament written within the context of first century Judaism, fostering the new perspectives on Jesus, the Synoptic Gospels, the Fourth Gospel, the Johannine epistles, etc.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because the new perspective is particularly critical to the reformers’ 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The perspective presupposes Paul’s positive acceptance of his contemporary Judaism, and interprets Paul’s soteriology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God and humans while undermining the concept of salvation as a result of God’s total grace. This further creates difficulties for us to understand John Wesley’s so called “Evangelical Synergism” and risks confusing our biblical view of salvation. Thu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of how the new perspective began and developed, and discusses what problems arise when we take the soteriology of the new perspective. To illustrate one such problem, this paper compares Wesley's perspective of salvation with that of a new perspective highlighting their differences and discrepancies. Finally, the paper discusses the dynamics of Wesley’s doctrines of soteriology and sanct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약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