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원진 성삼층설의 현대적 해석 (A current Interpretation of Han Wonjin’s Theory of Three-Tiered Natur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6.08
29P 미리보기
한원진 성삼층설의 현대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36권 / 265 ~ 293페이지
    · 저자명 : 최해숙

    초록

    이 연구는 보편적인 인성론의 맥락에서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의 성삼층설(性三層說)을 철학적으로 고찰하고 그것의 현대적 의미를 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연구는 한국의 전통철학 내지는 유학으로서 분류되는 학술분류의 영역에서 한원진의 성삼층설을 테마로 삼는다. 그러나 유학은 일반적으로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철학이라기보다는 전통철학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간주되기 때문에 한원진의 성삼층설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철학사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연구는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맥락에서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 하지만, 이로써 이것을 현대적인 철학의 범주 안에서 이해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일반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먼저 한원진의 성삼층설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성론을 철학적으로 고찰한다. 이것은 먼저 사람과 사물이 모두 같은 초형기(超形氣)의 성과 사람과 사물이 다른 인기질(因氣質)의 성이 존재 및 본질규정이면서 동시에 도덕의 원천이 된다는 것을 밝힌다. 그리고 나아가 사람과 사람이 다른 잡기질(雜氣質)의 성이 도덕실천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로써 이 연구는 한원진의 철학이 성삼층설에 포괄적으로 집약되어 있다는 것을 체계적으로 밝히고 있으며, 또한 이것이 지금 여기에서 자기 본성을 묻는 인간에게 자기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새로운 창이 되기를 희망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make a philosophical examination, in the context of the universal theory of human nature, of Han Wonjin(韓元震: 1682-1751)’s Theory of three-tiered nature(性三層說) and to interpret its meaning from the contemporary perspective.
    Most of existing studies deal with Han Won-jin’s doctrine of three-tiered nature based on the typical theory of human nature classified into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or Confucianism. In general Confucianism is considered ethics rather than philosophy, and studies on Han Won-jin’s theory of human nature also discuss it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Confucianism or traditional philosophy. Those studies only regard the theory as a bygone theory of human nature.
    In contrast to such conventional approaches, this study introduces Han Won-jin’s doctrine of three-tiered nature before it examines theories of human nature on the basis of it. Which reveals that the nature of Chohyonggi(超形氣) and the nature of Ingijil(因氣質) defines existence and essence and at the same time it becomes the origin of morality and the nature of Jabgijil(雜氣質) become the objects of moral practice. This study explains Han Won-jin’s philosophy is condensed into his doctrine of three-tiered nature and hopes the explanation will be a new window through which human beings questioning themselves about their own nature look at themselve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