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치성분 ‘來說’의 문법화 연구 ― ‘Pre+NP+来说’구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Posterior Elements “Laishuo(來說)” ― Focusing on the “Pre+NP+laishuo(來說)” Structur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7.01
34P 미리보기
후치성분 ‘來說’의 문법화 연구 ― ‘Pre+NP+来说’구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어문논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어문논역총간 / 40호 / 267 ~ 300페이지
    · 저자명 : 최재영, 김윤영

    초록

    중국어문법학계에서 ‘Pre+NP+X’구조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래로 대부분의 학자들은 후치성분으로 사용되는 ‘来说, 看来, 起见, 起, 为止’ 등이 문법화된 성분이라는 점에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통시적 고찰은 현재까지 그다지 많지 않아 연구가 필요한 영역인데, 본고에서는 이 중 ‘来说’의 문법화과정과 기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来说’의 문법화과정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宋代부터 清代까지의 대표적인 문헌인 《朱子语类》, 《金瓶梅词话》, 《水浒传》, 《醒世姻缘传》, 《初刻拍案惊奇》, 《二刻拍案惊奇》, 《红楼梦》, 《兒女英雄传》, 《儒林外史》 등 9종과 民国时期의 鲁迅, 老舍, 钱钟书의 작품, 當代의 余华, 王朔의 작품에 출현하는 예문을 전수조사하여 ‘来说’의 문법화과정과 기제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来说’는 宋代에 ‘S+Pre+NP+来说+(X)’문형에 출현하기 시작하면서 ‘来’는 동사에서 전치사구와 동사를 연결해주는 ‘연결조사’로 문법화되었고, ‘说’는 여전히 동사 의미로 사용되었다.
    둘째, 清代〜民国时期에 이르러 ‘S+Pre+NP+来说+VP / Pre+NP+来说+S+VP’문형의 출현으로 후속성분의 위치에 화자의 견해나 관점을 나타내는 ‘VP, S+VP’가 출현하면서 ‘연결조사 来+동사 说’는 ‘준조사 来说’로 재분석되었다.
    셋째, 當代에 이르러 ‘Pre+NP+来说’구조에 출현하는 전치사가 ‘对(于)’로 단일화 되었고, ‘Pre+NP+来说’의 의미기능이 ‘한정대상’으로 전문화되었으며, 판단근거를 나타내는 기능은 ‘Pre+NP+看来’가 전문적으로 담당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Since the discussion regarding the structure of “Pre+NP+X” in Chinese grammar has begun, many scholars agreed that “laishuo(来说)”, “kanlai(看来)”, “qijian(起见)”, “qi(起)”, “weizhi(为止)”, etc. are grammaticalized elements. However, there are few diachronic studies regarding this subject. Therefore, more concrete and well-organized research must be conducte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and the mechanism of “laishuo(来说)”. First, we reviewed preceding studies, and then,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the previous studies, we examined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and the mechanism of “laishuo(来说)” by investigating entire examples appearing in the representative texts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such as Zhuziyulei (朱子语类), Jinpingmeicihua (金瓶梅词话), Shuihuzhuan (水浒传), Xingshiyinuuanzhuan(醒世姻缘传),Chukepaianjingqi(初刻拍案惊奇), Hongloumeng (红楼梦), Ernuyingxiongzhuan (兒女英雄传), Rulinwaishi (儒林外史), Erkepaianjingqi (二刻拍案惊奇), and in the works of the Republic of China era and the contemporary era authors, including Lu Xun(鲁迅), Lao She(老舍), Qian Zhongshu(钱钟书), Yu Hua (余华), Wang Shuo(王朔).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laishuo(来说)” begins to appear in the “S+Pre+NP+laishuo(来说)+(X)” pattern in the Song Dynasty, the verb “lai(来)” was grammaticalized as “auxiliary words” linking prepositional phrases with verbs, and “shuo(说)” was still used as a verb.
    Second, the “S+Pre+NP+laishuo(来说)+VP / Pre+NP+laishuo(来说)+S+VP” patterns appeared in the Qing Dynasty and in the Republic of China. “VP and S+VP” in the position of the succeeding ingredient “X” usually began to express the opinion or viewpoint of the speaker. As a result, the “auxiliary words 来 + verb 说” were reanalyzed as “quasi-auxiliary words(准助词)”.
    Third, in the Dang dai(當代), the prepositions appearing in the structure of “Pre+NP+laishuo(来说)” were unified to “dui(yu)(对(于))”. Based on this, “Pre+NP+laishuo(来说)” specialized in indicating “limited subjects”, and “Pre+NP+kanlai(看来)” was responsible for indicating the basis of the professional judg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어문논역총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