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맹자』 인용시 연구- 성선설(性善說)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oems Cited in Mencius - with a Focus on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8.05
27P 미리보기
『맹자』 인용시 연구- 성선설(性善說)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43권 / 113 ~ 139페이지
    · 저자명 : 진예숙

    초록

    맹자는 자신의 철학이나 사상을 정당화하는 논리에 대부분 『詩經』과 『書經』을 인용하여 논거로 삼거나 주장을 강화하는 데 적극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孟子』에 인용된 30편의 시 중에서도 성선설(性善說)과 관련하여 인용된 시를 중심으로 그 사상적 배경과 목적, 의의 등을 조명하고, 이 인용시들이 성선설의 논리구조에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성선설(性善說)은 맹자의 사상적 토대를 이루고 있는 핵심적인 주장으로 이와 관련된 인용시는, 대아(大雅) ᐸ蒸民ᐳ ․ ᐸ旣醉ᐳ ․ ᐸ思齊ᐳ ․ ᐸ文王ᐳ 등 4편의 시들이다. 이 중 ᐸ文王ᐳ은 맹자가 가장 많이 인용한 시로, 전체적으로 총 4회에 걸쳐 인용되고 있으며, 동일한 시구가 2회에 걸쳐 중복 인용되고 있어 그 위상과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먼저 성선설(性善說)과 관련하여 맹자는, 공자의 인(仁) 사상(思想)을 더욱 진전시켜 인간의 본질인 성(性)을 선(善)으로 규정하였고, 대아(大雅) ᐸ蒸民ᐳ의 시 인용을 통해 그 기원을 언급함으로써 자신의 학설을 강화하고 그 정당성과 전통성에 권위를 부여하고 있다.
    다음으로 성선(性善)의 확충과 관련하여 맹자는, ᐸ旣醉ᐳ의 시를 단장취의(斷章取義)하여, 자신에게 고유하게 내재되어 있는 고귀한 천작(天爵)을 자각하고 인의(仁義)를 충족시킬 것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대아(大雅) ᐸ思齊ᐳ를 인용하여 문왕(文王)의 수신(修身)의 공효가 제가(齊家)와 치국(治國)에까지 이르렀음을 밝히고, 인간 개개인에서 시작된 사랑이 어떻게 바람직한 이상사회를 형성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이상적(理想的) 인간상(人間像)과 관련하여 맹자는, 성선(性善)의 선단(善端)을 확충하는 방법이 바로 ‘반구저기(反求諸己)’임을 주장하고 있다. 그는 성선(性善)이 확충되면 그 효과는 천하가 귀의하는 데까지 극대화될 것임을 강변하고, 문왕(文王)을 그 모델로 제시함으로써 성선(性善)에 관한 확실한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영어초록

    Mencius is known to have made active use of poems mostly quoted from The Book of Odes and The Book of Documents to provide grounds for his arguments or reinforce his arguments about the logic to justify his philosophy or ideology. This paper set out to investigate the ideological background, purpose and significance of 30 poems quoted in Mencius in relation to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and examine the roles of the quoted poems in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theory.
    The theory is Mencius' core argument that is his ideological foundation. He quoted four poems related to the theory including Daea Jeumgmin, Gichui, Saje, and Munwang. The same phrases from Munwang were cited two times by Mencius, which helps to estimate its status and importance.
    Mencius advanced Confucius' In ideology further, defined Seong that was human nature as good, and mentioned its origin by citing Daea Jeumgmin to reinforce his theory and grant authority to its legitimacy and traditionality.
    With respect to the expansion of good human nature, Mencius cited parts of Gichui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its overall meanings, thus inspiring people to realize their unique natural nobility inherent in them and fulfill Inui. He also cited Daea Saje, showing that Munwang's Gonghyo of Susin led to Jega and Chiguk and demonstrating how love, which would begin at the individual level, woul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ideal and desirable society.
    Finally, Mencius maintained that "Bangujegi" should be a method of expanding the Seondan of good human nature with regard to an ideal human image. He persistently argued that the expansion of good human nature should maximize its effects to the point of the entire world's dependence and trust and proposed Munwang as its model to provide a certain ground for good human natur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Mencius made active use of poems as grounds for good human nature that was his ideological foundation. He cited the four poems to support his arguments based on the origin of good human nature or facilitate the expansion of good human nature through the realization of natural nobility. His intention behind his citation was also to encourage and promote the will for the practice by introducing a way of expanding good human nature socially by stages or demonstrating the stage of man-Heaven unity achievable through Banguje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