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컨테이너선 대형화에 따른 부산항의 대응 방안 (Counter-strategies of Busan Port against Expansion of Container Vessel Siz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5.06
26P 미리보기
컨테이너선 대형화에 따른 부산항의 대응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운물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해운물류연구 / 31권 / 2호 / 249 ~ 274페이지
    · 저자명 : 원승환, 조성우, 이주호

    초록

    부산항은 해상운송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우수하지만 중국 항만의 위협에 따른 최근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인프라, 장비, 운영 등의 측면에서 종합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선의 대형화에 초점을 맞춘 부산항의 대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선박 대형화가 항만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한다. 선박이 대형화됨에 따라서 보다 깊은 수심의 확보, 선석 길이의 증가, 하역장비 사양의 변화, 하역 생산성의 향상 등이 요구된다. 이어서 최근 부산항에 입항하였던 선박 자료를 조사하여 부산항의 대형 선박 입항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의 상황을 추정한다. 또한 부산항의 현재 선박 수용 환경을 토대로 선박 대형화가 보다 가속화될 미래에 대형 선박을 수용 가능할지를 분석한다. 이상의 분석을 기반으로 컨테이너선 대형화에 따른 부산항의 대응 방안으로 입출항 해협 및 안벽전면의 수심 확보를 통한 접안 조건의 개선, 선박 길이의 증가에 따른 선석의 재배치, 선폭 증가에 따른 하역장비 사양의 변화, 선박의 평균 처리량 증가에 대비한 생산성의 혁신 등이 제시된다.

    영어초록

    As the size of trade between countries increased, there are rapid changes in the logistics environment concerning ports. The world container handling volume in 2013 is 642 million TEUs, which grew by 80 percent compared to 360 million TEUs in 2004. It is forecasted to reach 840 million TEUs in 2018, which grew by over 2 times compared to the amount in 2004. Due to this, the marine transportation industry has made Mega-Carrier appear through mergers and acquisitions between shipping lines to expand market dominance, and they are continuing to make enormous investments for securing mega ships over 10,000 TEU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in shipping cost.
    According to such changes in the shipping environment, large ports in the world are engaging in fierce competition for hub ports by continents in order to attract mega fleet, and this is leading to the trend of strengthening port competitiveness through the securing and operation of efficient port facilities. In other words, the world’s leading ports such as Singapore, Shanghai, Hong Kong, Shenzhen, Busan, Rotterdam, and Hamburg are not only developing large-sized terminals but also investing highly productive handling equipment for the efficiency of port operation.
    By the requirements of shipbuilders and shipping companies, very large container ships are becoming a reality, and 20,000 to 30,000 TEUs or more ultra large vessels are also expected a few years after. In these situations, the world’s major ports are faced with important challenges. The provision of container terminal infrastructure has to be enhanced to reduce the time that vessels need to stay in port. It is imperative for container ports and individual terminals to be efficient in order to survive in today’s competitive environment.
    Busan Port has a very excellent accessibility to international intermodal transportation network but is facing a serious threat from the rapid growth of Chinese Ports. Now Busan Port needs the total counter-strategies considering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opera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counter-strategies of Busan Port against growing container vessel siz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we firstly summarize the effects of growing container vessel size on ports. The enlargement of vessels requires deeper water level, longer berth length, bigger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and higher handling productivity. Second, we analyze the calling situation of large container vessels at Busan Port by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data of vessels which recently called at Busan Port, and also estimate the future status of Busan Port. Third, we also analyze the calling acceptability of large container vessels at Busan Port in the future based on the current calling conditions of Busan Port. Finally, we suggest the counter-strategies of Busan Port against the expansion of container vessel size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the improvement of berthing condition through keeping deeper water level of sea route and quay inside the ports, the rearrangement of berths according to longer vessel length, the specification acceptance of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according to wider vessel width, and the innovativ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gainst increasing the average handling amounts of vess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운물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