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초기선종의 성립에 관한 일고찰 : 우두선(牛頭禪) 사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Zen Buddhism in China - Centering on the Niu-t'ou Zen(牛頭禪)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1.03
26P 미리보기
중국 초기선종의 성립에 관한 일고찰 : 우두선(牛頭禪) 사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7호 / 199 ~ 224페이지
    · 저자명 : 김제란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초기 선종사에서 가장 강렬한 이념을 제시했던 우두 법융(牛頭法融, 594657)의 선사상인 우두선(牛頭禪)의 형성과 그 내용을 재해석하기 위함이다. 6, 7세기 동아시아 불교 지형도에서 달마의 중국 도래는 당시 소의경전 중심의 고답적인 종파불교에 대한 경종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동아시아 선불교의 황금기를 예고했다. 달마는 『능가경(楞伽經)』을 소의경전으로, ‘응주벽관(凝住壁觀)’을 수행방법으로 후학들에게 그의 독특한 선사상을 전수했다. 그의 선법은 5조 홍인 이후 남북 양종, 즉 혜능의 남종선과 신수의 북종선으로 각기 분기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분기에 앞서 4조 도신 때 법융은 삼론종의 반야 공관(般若空觀)을 바탕으로 한 ‘무사선(無事禪)’과 ‘절관(絶觀)’의 이념을 선보였다. 그의 선사상은 4조 법지에 이르러 우두종이라는 종파를 형성했다. 후에 화엄종 5조 종밀은 우두종이 남북 양종과 별개인 제3의 선종이며, ‘민절무기종(泯絶無奇宗)’ 혹은 ‘반야공종’(般若空宗)이라고 표현했다. 그들은 남북 양종의 이념적 대립 구도 속에서 타 종파의 선사나 문인들과 빈번한 교류를 통해 여러 사상들의 담론을 형성하는 가교 역할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두종은 당말 삼론종의 쇠퇴와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에 본 연구는 우두종의 선사상을 중국 선종의 성립이라는 측면에서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bout the thought of Zen(禪) in Fǎ róng(法融, 594657) and the sect of Niu-t'ou(牛頭宗).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delicate the Niu-t'ou Zen(牛頭禪) which had taken a brilliant role in Zen Buddhism in China of bygone days. The Order of Zen Buddhism insists on the faith that Buddha and Human beings have originally the same in true nature. Furthermore, Geonsung(見性) isn’t the discourse of the true nature, but manifests oneself it. According to the 1st Bodhidharma’s coming from India, China Buddhism has turned over a new leaf and became more pratical religion than just dogmatic concentration of the teachings of Buddha. He put Lankāvatāra-sūtra(『楞伽經』) on a essential text of Zen Buddhism and practised a ‘meditation staying focused on wall’(凝住壁觀) as a method of the practice on his Zen. As time passed, his tradition of Zen’s practice was divided into two kinds of South and North in China. Namely, one is ‘Mindlessness’(無心) of Southern Zen and the other is ‘Escape of thouhgt’(離念) of Northern Zen. A fully separate sect from previous sects was the Order of Niu-t'ou which had established by the 1st zen master named Fǎ róng. He was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Sānlùn school(三論宗) in China, avocated ‘None of action zen’(無事禪) and ‘Extinction of all Vipassanā’(絶觀) as a practice of Zen throughout Prajña-Śūnyatā(般若空觀) of Mahāyāna Buddhism. The 4th master (法持) succeeding a brilliant thought on Zen by Fǎ róng actually established the Sect of Niu-t'ou as a independent sect in China Buddhism. They were called as an ‘Independent from Extinction of Emotion Sect’(泯絶無奇宗), a ‘Prajña-śūnyatā Sect’(般若空宗), or a ‘3rd Zen Sect separate from north-south two zen sects’ tradition’ by the 5th Zōng mì(圭峰宗密, 781-841) in the Huá yán zōng(華嚴宗) in China. The thought of conformability of the meditative(禪) and doctrinal aprroaches(敎) have given the background on it of the 4th Chéng guān(清涼澄觀, 737-838) and the 5th Zōng mì in the Huá yán zōng. However, the sect of Niu-t'ou had gone away into a page of history in China Zen Buddhism before China’s Song(宋) Dynasty, casting in their fortunes with a decline of the Sānlùn school in late Tang(唐) Dynasty. So, to conclude,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pose the true reason of the ‘jiàn xìng chéng fó’(見性成佛) on Zen Buddhism by investigating thoroughly the Niu-t'ou Zen which had presented a most powerful thought in Zen Buddhism in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