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광주지역 중학생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1.09
23P 미리보기
광주지역 중학생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33권 / 3호 / 41 ~ 63페이지
    · 저자명 : 한대인, 정난희

    초록

    본 연구는 광주지역 중학생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을 조사하여 가정 교과에서 중학생의 건강한 식습관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30부를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0.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영양지식을 습득하는 경로는 학교 교과 시간이 31.82%로 가장 많았다. 둘째, 영양지식은 14.33점(20점 만점)으로 양호한 편이었고, 성별에 따른 영양지식은 ‘식품’ 영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p<.05), 학년에 따른 영양지식은 3학년이 1, 2학년보다 높았다(p<.001). 셋째, 식습관은 69.75점(100점 만점)으로 보통 수준이었고, 성별에 따른 식습관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p<.05). 특히 ‘하루 세 끼를 규칙적으로 먹는다’(p<.01), ‘아침 식사를 거르지않는다’(p<.01), ‘단 음식을 자주 먹지 않는다’(p<.01), ‘학교생활 외에 운동을 규칙적으로 한다’(p<.001)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높았다. 학년에 따른 식습관은 ‘식사를 준비해 준 사람에게 감사하며 먹는다’(p<.01), ‘매끼 곡류를 먹는다’(p<.01)에서 3학년이높았다. 넷째, 영양지식 정도에 따른 식습관은 영양지식이 ‘상’과 ‘중’인 그룹의 식습관이 양호하였고, 영양지식이 낮으면 식습관점수도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학교 교과 시간에 식생활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가정과 교사는 보다 큰 사명감과 자부심을 가지고중학생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의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that can help the students form healthy eating habits. For this purpos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analyzed using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20.0 for Window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curriculum session ranked top(31.82%) on the list of sourc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acquire nutrition knowledge. Second, the mean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of all respondents was moderately high(14.33 points out of maximum 20 points). In terms of nutrition knowledge by gender,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in the ‘Food’ domain than their male counterparts(p<0.05). With regard to nutrition knowledge by grade, Grade 9 showed a higher score than Grade 7 and 8(p<0.001). Third, the mean score of eating behavior of all respondents was at an average level(69.75 out of 100 points). In terms of eating behavior by gender,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score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p<0.05). In particular, 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than female students for the following items: “I exercise regularly after school”(p<0.001); “I regularly eat meal three times per day”(p<0.01); “I don’t skip breakfast”(p<0.01); and “I don’t eat sweet food often”(p<0.01). In terms of eating behavior by grade, Grade 9 showed higher scores than Grades 7 and 8 for the following items: “I eat meal out of thankfulness for those who have prepared food”(p<0.01) and “I eat grains for every meal”(p<0.01). Finally, with regard to eat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the ‘Upper’ and ‘Middle’ groups had higher scores for eating behavior than the ‘Lower’ group, indicating that a lower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resulted in a lower score in eating behavior. Based on the above results, home economics teachers responsible for dietary education should have a greater sense of mission and pride and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