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諺文’과 ‘正音’의 文獻 記錄 樣相으로 본 새 문자 創製 意義에 대한 再解釋 (Study on the Issues about Designating of the Korean letters as Eonmun(諺文) or Jeongeum(正音))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6.12
37P 미리보기
‘諺文’과 ‘正音’의 文獻 記錄 樣相으로 본 새 문자 創製 意義에 대한 再解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4권 / 4호 / 7 ~ 43페이지
    · 저자명 : 강남욱

    초록

    세종 당대 만들어진 새로운 문자에 대해 ‘언문’, ‘정음’ 또는 ‘훈민정음’으로 지칭하는 문헌 기록이 있는데 특히 실록에는 ‘언문 28자’라고 되어 있고 정인지 서문에는 ‘정음 28자’라고 되어 있어 대비가 된다. 창제 초창기에는 ‘언문’이라는 공식적인 용어를 가지고 새 문자를 지칭하였으나, 『訓民正音』을 완성하고 「解例」를 붙인 학자들은 ‘정음’이라 칭하고자 했다. 이 두 용어는 모두 새롭게 만들어진 우리의 문자를 정식으로 가리키는 지칭어로서 보아야 할 것이다. 훈민정음은 ‘훈민’, 즉 보통 사람들의 말을 적는 글로서 ‘언문’이라는 기능과 ‘정음’, 즉 변이음과 속음이 많은 한자음을 바로잡는 표준화 작업의 두 역할을 함께 지칭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새 문자를 둘러싼 정치외교, 사상과 철학, 학자 집단 간 역학 사이에 접점으로 찾은 미묘한 균형 관계를 일컫는 명칭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historical fact, there are two ways of designating(naming) the new letters of Korean of King Sejong era: Eonmun(諺文) and Jeongeum(正音). In the historical record of Sejong Sillok(Annals of King Sejong) Eonmun 28 Letters were written, contrasting to Jeongeum 28 Letters of Jeong In-ji's preface. This article aimed to prove Eonmun and Jeongeum are another ways of expressions revealing their naming philosophy, together with these two terms were originally proper noun. The early period that Sejong commenced to make new letters, Sejong and his special vassals intended to give stress on Eonmun morality as a direct and convenient means of writing Korean language for public in general, subsequently summing up to the name Hunmin(訓民). After an appeal of Choe Man-ri in 1444, however, the other naming philosophy of Jeongeum morality came to the fore as the late-participants scholars of intending to design new letters as a means of correcting the variable sounds of Chinese letters. Therefore, the two terms can be interpreted as a sensitive political mechanics of Sejong and old-nobility’s power contai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