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에서 나타난 동아시아 영토갈등 기원론의 법리 검토 (A Review of the Jurisprudence in the Origin of East Asian Territorial Conflict from Treaty of San Francisco)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2.12
34P 미리보기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에서 나타난 동아시아 영토갈등 기원론의 법리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군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군사문화연구 / 36권 / 65 ~ 98페이지
    · 저자명 : 서인원

    초록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초안 변화 과정에서의 영토문제 분석에서 조약의 준비 작업은 조약체결의 역사적 사실로, 준비 초안, 회의 토의록, 교섭기록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조약법상 보충적 해석 수단과 조약법 협약 제31조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분석하면 강화조약 조문의 합리적인 해석을 할 수 있다.
    미국은 조약체결 과정에서 연합국의 의견을 무시하고 단독으로 개입하였고, 시볼드의 로비에 의한 조약체결이 일본에게 유리하게 작용한 것은 신의성실 원칙을 위반하는 것이다.
    일본의 로비 활동의 여파로, 제6차 초안부터 일본과 한국의 영토조항이 아예 삭제되었고, 제8차 초안에선 영토조항을 더욱 간략히 하였다가 제9차 초안에선 일본의 영토조항을 설정하지 않고 일본은 한국에 관한 모든 권리, 청원, 청구권을 포기한다고만 명시하였다. 이런 간단한 초안은 일본과 한국의 영토범위는 아주 불명확하고 미국무부의 검토 경과를 보더라도 독도를 포함해서 영토주권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히 예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전쟁 발발과 중국군의 개입 이후, 일본의 공산화 방지와 전략적 기지로써의 가치로 인해 급속도로 진행된 강화조약은 일본의 전쟁책임, 배상, 영토할양 등을 배제한 채 패전국 일본을 진정한 협상 상대로 인정한 세계외교사의 유례가 없는 우호적 평화조약이 되었다. 이런 미일합의는 이후 일본에 의한 동아시아 지역 내 영토분쟁의 요소를 남겨 놓았다.
    강화조약의 영토조항은 SCAPIN 제677호를 근거로 작성되었고 미국초안 1~5차, 미영연합국의 초안에도 독도가 한국영토로 기재되었다. 미국은 독도를 한국 영토로 인식하면서 한일간 분쟁 방지를 위해 최종 강화조약 내용에 독도를 아예 기재하지 않았다. 강화조약에는 독도에 대한 아무런 규정도 없기 때문에 한국의 독도 영유권, 통치권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강화조약 체결 시, 분쟁해결이 조건으로 처음에 영토 귀속 국가를 명시하다가 미국의 이익에 의해 영토 귀속 국가를 삭제하였고 한국, 공산권국가 조약 체결 서명 참가를 반대하였다. 그리고 한국 관련 제3국 조약 적용 문제 등을 포함해서 국제법적으로 조약의 불완전성이라 할 수 있다.
    강화조약 체결은 이해관계국가 또는 국제기구의 제3자가 참여하여 이행을 보장, 감시 또는 관찰하는 정치적 그리고 법적 메카니즘이 상호 복합된 형태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미국이 주도한 강화조약의 영토조항이 아시아에서 객관적 체제를 형성했는지는 의문이다.
    제2차 세계대전 후 1947년 이탈리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 핀란드 각국의 강화조약을 비교하면 일본의 강화조약은 원래 유럽 국가들의 강화조약과 대체로 같아야 하는데 미국의 냉전 정책에 의해 관대한 강화조약이 되었다. 이 강화조약은 체결 과정부터 신의성실 원칙을 위배한 것이고, 배상책임과 전쟁책임을 지지 않은 비징벌적인 조약으로 동북아시아의 영토문제는 영원히 해결하지 못한 채 미해결로 남게 되었다.

    영어초록

    In analyzing territorial issue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draft’s Treaty of San Francisco, the preparation of the treaty is a historical fact of the conclusion of the treaty. When we analyz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ood faith, we can make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s of the peace treaty.
    The US ignoring the opinions of the Allies and intervened alone in the treaty signing process, and the fact that the signing of the treaty by Sibold’s lobby worked in Japan’s advantage violates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aftermath of Japan’s lobbying activities, the territorial provisions of Japan and Korea were completely deleted from the 6th draft, and the territorial provisions were simplified in the 8th draft. only expressly waives all rights, petitions and claims in relation to Korea. In such a simple draft, the territorial scope of Japan and Korea is very unclear, and even after reviewing the progress of the US State Department’s review, it was natural to predict that disputes over territorial sovereignty including Dokdo would arise.
    In addition, the peace treaty, which was rapidly progressed due to Japan’s prevention of communism and its value as a strategic base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Army. It was a world diplomat who recognized Japan as a true negotiator while excluding Japan’s war responsibility, reparation and territorial concession. It became an unprecedented friendly peace treaty. This agreement between the US and Japan left behind elements of territorial disputes in East Asia by Japan.
    The territorial provisions of the Peace Treaty were drawn up based on SCAPIN No. 677, and Dokdo was listed as Korean territory in the 1st~5th the US Drafts and the US-British joint Drafts. The US recognized Dokdo as Korean territory and did not include Dokdo in the final peace treaty to prevent disputes between Korea and Japan. It has no effect on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since there is no provision for Dokdo in the Peace Treaty.
    When the peace treaty was concluded that the country to which the territorial belonged was initially specified as a condition of dispute settlement, but the country to which the territorial belonged was deleted in the interests of the US, and opposed the signing of treaty by the communist country, and Korea.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treaty is incomplete in international law, including the issue of the application of treaties related to Korea by third countries.
    The conclusion of a peace treaty must have a complex form of political and legal mechanisms that guarantee, monitor, or observe implementation with the participation of interested countries or third parti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territorial provisions of the peace treaty led by the United States formed an objective system in Asia.
    To comparing the peace treaties of Italy, Romania, Bulgaria, Hungary, and Finland in 1947 after the World War II, Japan’s peace treaty is not the same as the original peace treaty of European countries, and it became a generous peace treaty by the Cold War policy of the US. This peace treaty violated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nd good faith from the beginning of the signing process, and as a non-punitive treaty that did not take responsibility for compensation and war, the territorial problem in Northeast Asia remained unresolved fore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