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법과 교회법상 혼인의 요건에 관한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Marriage in Civil Law and Canon Law)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3.01
25P 미리보기
민법과 교회법상 혼인의 요건에 관한 비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9권 / 93 ~ 117페이지
    · 저자명 : 권영돈

    초록

    태초로부터 혼인의 자유는 인간에 부여된 자유권적 기본권이다. 이는 세속적 의미의 혼인의식의 의미에도 잘 나타나고 있으며, 성경에서 설명하고 있는 아담과 이브의 결합 의미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보편적으로 혼인의 자유는 혼인결정의 자유, 혼인관계 유지의 자유, 혼인할 상대방 선택의 자유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사람은 누구나 누구와 혼인을 할 것인지, 혼인체결의 여부를 결정할 자유가 있다. 또한 혼인체결을 지속시키기 위해 상대방에게 혼인관계를 유지할 것을 요구할 권리가 있으며, 혼인당사자들은 이러한 상대방의 요구에 응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국가와 사회는 혼인의 자유와 그 자유의 내용을 보장할 의무를 지닌다.
    혼인의 성립에 관한 세속법상의 민법과 교회법의 규정을 비교, 검토하며, 세속법상의 민법에 교회법상에 규정하고 있는 혼인의 성립요건을 어느 정도 적용할 수 있는지의 적용범위와 한계를 비교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비교법적인 차원에서 양법에 다같이 적용되는 점도 고찰해 보면서 가족제도의 기초가 되는 혼인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을 두었다.
    혼인법의 비교 ㆍ 검토 결과, 첫째, 혼인에 있어 ‘계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혼인은 자신의 인격을 걸고 하는 신분행위이지 어떤 제3자의 물건을 놓고 하는 거래상의 계약이 아니다. 따라서 종교적인 의미를 떠나 ‘계약’이라는 용어 보다 더 풍부한 인격적 의미를 지닌 ‘서약’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둘째, 법학자들은 혼인의 성립요건으로 현행 민법에서 혼인의 성립에 관한 규정 중 제 807조 내지 제814조를 혼인의 실질적 성립요건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는 실질적 성립요건 이기보다는 혼인의 성립은 당사자들의 합의가 이루어지는 그 순간에 성립되는 것이다. 또한 혼인의 형식적 요건에서 민법상의 신고혼주의와 가톨릭의 의식혼주의를 병행하여 신고혼주의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제도적 규정이 있어야 하리라 본다.
    셋째, 자신의 인격을 걸고 이루어지는 신분행위에는 ‘취소’라는 용어의 사용은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혼인에 관해서는 ‘무효’라는 용어가 타당하며, 교회법에서는 인정을 하지 않지만 민법상 이혼을 다루는 규정에서는 ‘해소’에 의해서 당사자들이 이혼하였음을 선언해야 함이 옳다. 혼인에 관한 이론적, 법률적 정립에 더 한층 노력하여야 하며, 이는 곧 혼인을 하는 당사자들 뿐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는 모두에게 혼인은 당사자들의 자유로운 서약에 의해서 출발하며, 이 혼인서약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당사자들이 살아있는 한 모든 인격을 다해 지켜야만 하는 것이라는 것을 그들 삶 안에 각인시켜 주어야 한다.

    영어초록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ld, freedom of marriage is given to human beings as fundamental rights. It is manifested in wedding ceremony in secular meaning and in the marriage of Adam and Eve which the Bible explains. Therefore every human being has rights to decide whom he/she gets married to. Furthermore, he/she has rights to demand his/her spouse to continue the marriage in order to maintain the marriage agreement and himself/ herself has an obligation to accept the request of the spouse. And the state and society shall bear the obligation to guarantee freedom of marriage and its matter.
    The author compared and examined the validity of marriage of civil law as secular law and of canon law about the regulation, and studied on the category of possible application and limit in canon law on the factor of constituent of matrimony which civil law regulated. Moreover, it is purposed to let the readers to rethink the meaning of marriage which plays the role of base of family institution as we study applicable points of civil law and canon law in light of comparative law.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civil law and canon law on marriage, firstly of all, although the term ‘contract’ is used in marriage law it is not for trading a goods of a third party but marriage is a status act of his/her personality. Therefore, aside from the religious meaning, using the term ‘vow’ is advisable in marriage rather than the term ‘contract’ because the term ‘vow’ is more personal.
    Secondly, the jurists clarify the article 807 or article 810 as the actual factor of validity of marriage but it is not necessarily the actual factor because validity of marriage is activated in the moment that both parties agree to get married to each other.
    Furthermore, the author asserts that there shall be institutional regulation in formal factor of marriage which makes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principle of marriage by registration in civil law by letting going side by side with the principle of marriage by rite in Catholic. Thirdly, it is not adequate to use the term revocation regarding personal status act. Therefore it is adequate to use the term ‘invalidity’ on marriage; though Catholic does not accept a divorce it is right that the civil law may declare that both parties are divorced in the regulation of divorce through revocation.
    Last, a ruling of court to proclaim that a marriage is not valid, does not mean a divorce. It confirms only the marriage contract has certain faults, Divorce means, on the contrary, that an originally valid marriage contract shall no more exist. There in no article regulating a reunion of divorced spouses in korean civil code. This does not lead automatically to that the one separated woman and man may not remarry. It's recommendable to introduce an article regulating reunion of the divorced spouses in korea civil law.
    We should try to establish more of theory on matrimony law; not only to the both parties who are to get married but also to everyone who is in the society it has to be imprinted that marriage begins with free vow of both parties and is not temporary but is to be maintained in their whole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