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계약법상 물건에 대한 warranty와그 책임 (The Warranty of Goods and its Legal Effect in the U.S. Contract Law)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4.08
32P 미리보기
미국 계약법상 물건에 대한 warranty와그 책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사법 / 21권 / 3호 / 1255 ~ 1286페이지
    · 저자명 : 가정준

    초록

    미국법상 'warranty'라는 개념은 계약의 일부로 발전되었다. 미국법은 매도인이 자신의 물건 또는 권리에 대한 매수인에 대한 보증의 개념과 범위를 정하고 그 보증을 위반한 경우 계약위반으로 법률관계를 규율한다. 내용적으로 ‘물건에 대한 보증’과 ‘권리에 대한 보증’으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미국법상 ‘물건에 대한 보증’은 동산과 부동산으로 구분되며, 부동산 보다는 동산을 중심으로 발전되었다. 미국법상 ‘물건의 권리에 대한 보증’ 역시 동산과 부동산으로 구분되는데, ‘물건에 대한 보증’과 달리 ‘물건의 권리에 대한 보증’은 동산 보다는 부동산을 중심으로 발전되었다. 미국법상 ‘warranty’와 그 위반은 손해배상이라는 법적구제 수단을 중심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UCC는 매도인에게 일정한 ‘warranty’에 관한 책임을 부가하고 있는데, 이는 매도인에게 목적물에 대한 일정한 품질 기준을 제시한 것으로 이를 위반하는 경우 계약의 내용을 위반한 것이 된다. 이러한 품질 기준은 이미 언급한 명시적 보증과 기타 여러 묵시적 보증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준을 매도인이 위반한 경우 ‘수령한 제품에 관한 매수인의 손해배상’이라는 이름으로 매수인에게 손해배상청구권만을 인정하고 있다.
    우리 민법과 달리 미국법상 ‘warranty’는 계약해제권과 강제이행청구권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미국 계약법에서는 불이행과 계약위반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미국 계약법상 모든 계약은 쌍무계약이고 계약 당사자들은 자신이 이행해야 하는 부분, 즉 개별적으로 의무를 이행할 부분을 갖고 있다. 일방이 자신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상대방은 그 자체로 ‘불이행’을 주장하고, 만약 일방의 이행이 적합(conforming)하지 않으면 상대방은 이행의 수령을 거절하거나 수령을 철회함으로써 ‘불이행’을 주장할 수 있다. 일방의 이행 이후 상대방이 이행을 수령하고 계약의 내용과 다른 하자가 발견됨에도 불구하고 그 수령을 철회하지 않거나 하지 못하는 상태를 ‘계약위반’이라고 한다. 이러한 ‘계약위반’과 관련하여 그 위반여부와 내용을 확정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이 ‘warranty’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has tried to show how different American contract law is from Korean one by exploring the warranty in the U.S. Unlike in Korea, the warranty in the U.S. is nothing but for the scope of contractual liability focusing on the damage awards. This is because contractual liability in the U.S. is unitary liability system which is based on strict liability. Contract law in the U.S. does not require fault to impose contractual liability on defaulter except where no one makes fault for the breach of contract. On the other hand, contractual liability in Korea consists of dual liability system. General contractual liability is based on fault while warranty liability on strict liability.
    The term of warranty liability has different meanings in each country. In Korea, it means the guaranty for all defects from contractual objects. In the breach of the guaranty, the injured may have diverse remedies against the defaulter such as pecuniary damages, enforcement, and cancelling the contract. On the other hand, it means the guaranty for a certain quality from contractual objects in the U.S.. However, in the breach of the guaranty, the injured may have nothing but damage awards in general.
    In fact, the right to cancel the contract in both countries may be hardly used unless an unusual circumstance occurs. For example, the right may have commonly been used where the contract is the mostly likely to become difficult in completely performing it. However, the contract law in the U.S. treats it in a different way. Especially, a basic principle with regard to performance in transactions for sale of goods is the perfect tender rule requiring an obligor to conform exactly to the description in the contract. When an obligor does not provide perfect performance, an obligee may have a right to reject the tender freely. The obligee may be discharged from what he is obliged to do for a tender that is non-conforming in any respect. The rejection may play a role not to satisfy the condition for the contract parties made. It means that the obligee in this case is entitled for an unfettered ability to terminate a contract. From the aspect of Korean contract law, in the U.S., the obligee is entitled to easily revoke the contract where a non-conforming or no tender is provided.
    Where the obligee may or cannot reject the non-conforming tender or revoke the acceptance of the tender due to afterward finding non-confirming tender, only one remaining legal remedy for the aggrieved party is a claim for money damage. Warranty does control how much the aggrieved party can claim money damage in this situation rather than for how much the breaching party can be li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