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헌법상 단결권 제한의 법리와 실제 (A Study on Constitutional Constraint on Right to Organize Labor Union in U.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0.12
29P 미리보기
미국헌법상 단결권 제한의 법리와 실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헌법연구 / 21권 / 3호 / 45 ~ 73페이지
    · 저자명 : 김명식

    초록

    최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조법”이라 한다)의 개정으로 2011년 7월부터 복수노조의 설립이 허용되게 됨에 따라 군소노조의 난립과 이로 인한 노조 내부의 갈등이나 분열로 사업장 혼란이 야기될 우려가 제기되면서, 노조 설립인원 제한에 관한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현행 노조법이 설립인원에 관한 아무런 제한규정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근로자 2인 이상이면 누구나 노조 설립이 가능하며, 설립 즉시 단체교섭권이 인정되고, 기업은 이에 대해 교섭의무를 부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화된 노사관계의 시대에 군소노조 난립으로 인한 사업장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노조설립 인원요건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바, 그 근저에는 노동조합이 근로자의 대표기구로서 독자적 활동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의사결정기관, 업무집행기관, 대표기관 등이 있어야 하므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규모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이 깔려 있다.
    그런데 노조설립 인원요건의 강화는 곧 헌법상 보장된 단결권의 침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제기에 부닥치게 될 것이다. 즉, 단결권은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기본권인 노동3권의 가장 기초가 되는 권리로서 절대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제한가능성에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헌법 제37조 제2항은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가 법률로써 제한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노조설립 인원요건 설정의 문제는 헌법상 단결권제한의 문제로 환원된다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비교법적 연구의 관점에서 미국헌법상 단결권 제한의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미국헌법은 단결권을 비롯한 노동3권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며, 다만 수정헌법 제1조의 ‘결사자유’규정에서 그 간접적 근거를 찾고 있으나, 미국법원의 해석은 단결권이 수정헌법 제1조의 보장을 받는 권리며, 특히 노동조합과 같이 경제적 이익과 관련된 결사의 경우에는 이를 제한하는 법률의 위헌여부에 대하여 완화된 합리성심사기준이 적용하여 판단하는바, 절대적 기본권으로 인식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als with the possibility of constraint on right to organize labor union in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in order to get some hints for reviewing the unconstitutionality of limiting the right to organize labor union in Korean Constitution,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ntroducing the multiple labor unions system from July 1, 2011.
    Under the American Constitution, the right to organize labor union is not explicitly enumerated, but based on the freedom of association which is a constitutional right integrated within the “penumbra” of the First Amendment.
    Since NAACP v. Alabama ex rel. Patterson, the U.S. Supreme Court has examined three separate types of the right to associate. First, individuals might associate to accomplish economic goals that are not squarely connected to any fundamental constitutional right. Second, the freedom of association is connected to the fundamental right to privacy and protected by the notion of liberty in the Due Process clauses. Third, the right to associate is related with many types of activity expressly protected by the First Amendment.
    The right to join together in labor unions may belong to first type because it is related with achieving economic purposes, like a trade association. So, the Supreme Court has applied the rational basis test to reviewing the constitutionality of law constraining this type of right. Therefore, so long as the legislature is rationally promoting an arguably legitimate government goal by restricting the activities of a business association, the Supreme Court will not invalidate this legislation. This means that the right to organize labor unions might be limited by law for promoting a legitimate public good. Nevertheless, the legitimate public goal to restrict the right to organize labor union is not found nowadays in United Sta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