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조세조약상 강제중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atory Arbitration in The United States Tax Treatie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7.08
42P 미리보기
미국의 조세조약상 강제중재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세법연구 / 23권 / 2호 / 179 ~ 220페이지
    · 저자명 : 김영순

    초록

    국제적 조세분쟁이 발생했을 때 상호합의절차는 기한의 제한이 없고, 권한 있는 당국은 합의를 위해 노력하기만 하면 되고, 반드시 해결안을 도출해야 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OECD 등에서는 효율적인 분쟁해결 방안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오고 있고, 이 해결책 중 하나가 중재제도이다. 특히 미국은 수많은 조세조약에서 임의적 중재 조항을 두고 있다. 그러나 그 실효성을 확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개별 조세조약을 개정하면서 강제중재 조항을 신설하고, 특히 최근에는 모델조세조약을 개정하여 강제중재 조항을 두게 되었다. 이러한 점은 미국이 개별 조세조약의 체결 및 개정에 있어서 강제중재 조항을 두겠다는 쪽으로 정책적 입장이 변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의 강제중재 조항의 특징은 첫째로, 비기관중재(ad-hoc arbitration)라는 것이다. 이는 해당 사안에 대해서 중재절차가 개시되었을 때 일시적으로 열리는 중재판정부이다. 둘째는, 중재판정 방식에 있어서 소위 야구중재(baseball arbitration)를 채택하고 있다. 중재인은 당사자들이 제시한 두 개의 제안 가운데 한 개만 선택하는 결정을 할 수 있을 뿐이고, 새로운 제안을 할 수 없다. 이로써 중재인들의 권한은 상당히 제약된다. 셋째는, 중재절차에서 납세의무자의 절차적 권리가 상호합의절차와 마찬가지로 제한되는 점이다. 납세의무자의 문서제출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조세조약도 있고, 중재판정부에서 직접 변론을 할 수도 없다. 넷째는, 중재인의 자격을 제한하는 내용이 있고, 중재인으로 선정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사람들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일정 기간마다 갱신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는, 납세의무자 및 중재인들에게 엄격한 비밀유지의무를 부과하고 있다는 것이다. 납세의무자나 그 대리인들이 비밀유지의무 각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중재절차가 아예 개시되지 않고, 중재인들이나 그 보조인들도 비밀유지를 서약해야 한다. 중재판정 내용도 비밀로 유지되므로 선례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지 않는다. 여섯째, 중재개시 단계에서 권한 있는 당국에게 재량권이 부여되어 있다. 권한 있는 당국은 상호합의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여 상호합의절차 개시 자체를 거절하거나, 사전에 중재에 적합하지 않은 사안을 합의함으로써 강제적 중재 조항을 피해 나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제중재 조항은 상호합의절차와 분리된 별개의 제도가 아니라, 상호합의절차에 의한 해결을 도모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 불과하다. 따라서 중재판정의 내용도 상호합의의 내용으로 간주되고, 원칙적으로 상호합의절차에 적용되는 많은 내용이 중재에도 적용된다.
    이미 OECD, UN, EU 등의 국제기구들이 강제중재 조항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고, 미국 또한 모델조세조약을 개정하여 정책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 한미조세조약의 개정에 있어서 우리 정부는 위와 같은 미국의 정책 변화에 대비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강제중재제도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When an international tax dispute arises, the competent authorities are under a duty to use only best efforts to solve it through the mutual agreement procedure. However they are not required to achieve a final result. In addition, many tax payers regard it as lacking impartiality. In that reason, the arbitration procedure is initiate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as opposed to mandatory arbitration until 2006. There are four U.S. Income tax treaties―with Belgium, Germany, France and Canada―in force that has mandatory arbitration provisions. Recently three U.S. Income tax treaty protocols are waiting for the ratification of the Senate. Moreover the Treasury Department released a revised 2016 U.S. Model Income Tax Convention, which was included the mandatory arbitration provisions. The mandatory arbitration clause will be an essential part of U.S. tax treaties going forward.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s of the U.S. mandatory arbitration clause. First, arbitration procedure is conducted by the ad-hoc arbitration board. Second, the authority of arbitrators is severely restricted. Their decision only involves the choice between the two options offered by the contracting states. It is so called baseball arbitration. It increases the speediness, and to placate the criticism relating to loss of sovereignty. Third, taxpayers don't have any greater right to participate than they have in MAP. Fourth, the list of people qualified to be selected as an arbitrator is created, and this is updated at regular intervals. Fifth, it imposes strict confidentiality on taxpayers and the arbitrators. As a result, the arbitral award is kept secret, so that it has valueless as a precedent. Sixth, the competent authorities have great discretion at the commencement of arbitration. Finally, the arbitration clause is a mean of reaching a resolution within a MAP. It is not seen as extraordinary or punitive. As a result arbitral award is regarded as the mutual agreement, and its procedure rely on the MAP.
    OECD, UN, EU, and U.S. have changed the policy to the mandatory arbitration in income tax treaties. It come the time that we have to study the mandatory arbitration and seriously consider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전